출처 https://cafe.naver.com/lucky75157/78

 

-      Item: Bunker oil (선박유)

Buyer: 선사

Supplier: 정유사 ex) BP, S-oil, SK, GS, Shell, Total…

 분별 증류로 얻는 석유 제품

액화석유 가스 ~30도씨

휘발유 30~140도씨

나프타 140~180도씨

등유 180~250도씨

경유 250~350도씨

중유 350도씨 이상

윤활유, 아스팔트 잔여뮬

-      기름의 종류

(ex)두바이, 시추 & 원유 수출 -> 정유사에서 증류탑으로 원유 정제)

LPG: , 난방, 기계 설비

휘발유: 자동차

등유(케로신): 비행기, 화력발전소, 로켓 연료

경유: 자동차, 플라스틱, 나일론 등 합성 섬유의 원료

벙커: 선박유 & 아스팔트 -> 40%

찌꺼기 -> 20%

*정제 방법: 각 기름의 끓는 점이 다른 것을 이용해 끓여서 순차적으로 추출

 

-      벙커유의 종류

è  FO (Fuel Oil) , 주동력장치에 쓰이는 오일 (엔진) 95%

500cst(centistoks: 동적 점유율): 컨테이너선 약 30% - RMK 500

380cst : Bulk. 자동차선, Tanker  60% - RMG 380

180cst: 크루즈선  9%

120cst & 80cst : 쾌속선, 어선, 상선 약 1%

*환경 규제 심화 (sulfur 문제)

2009LSFO (Low Sulfur Fuel Oil, 1.5% below) 사용 요구

2014ULSFO(Ultra Low Sulfur Fuel Oil 0.1% below) 사용 요구

<참고, FO : Typical spec: 3.5% below, Actual spec: 2.9-3.1%)

è  MGO ( <marine>  GAS OIL ) 보조 동력 장치에 쓰이는 오일 (발전기) 5%

Normal MGO ( 0.5% - 1.5% sulfur)

LSMGO ( 0.1% below sulfur)

 

-      ECA ZONE (Emission Control Zone) : 저유황 FO만 사용할 것 (LSFO, ULSFO, LSMGO)

è  유럽 (지중해), 북미 (미국, 캐다나 서부, 동부 모두), 북극항로, 남극항로, 2016이후 중국, 홍콩

 

-      Bunkering Method

1.     Barge 공급 ( 95%) : Mother Vessel, alongside, hose, 200-500MT per hour (pumping rate)

*Berth(부두), Anchorage(연안) 모두 가능

장점: 시간 절약, 24/7 가능  단점: high cost (바지선 한 번 띄울 때 4-5명 필요, 기름 필요)

2.     Truck 공급 (1%)

*Berth(부두) only available

장점: 비용이 낮음, 단점: 적은 양만 공급 가능 ( 탱크 로리 20MT 정도 ), 낮에만 가능

è  보통 어선, 유람선에 급유

3.     Pipe line 공급 (4%)

*Berth(부두) only available

장점: Low cost, 24/7 가능, pumping rate이 높음

단점: 제한적인 port, 선석에서만 가능

 

-      Bunkering Market <내수>

*우리나라 해양무역이 발달, 신라 시대 장보고, 고려시대 때 꽃 피움, 조선 시대 상인 천시, 쇄국 정책으로 인해 쇠락, 6.25 이후 다시 활성화 (참전한 강대국들에 의해) 부산 port !

*남해가 가장 발달한 이유 : 배의 접근성이 가장 좋음 (Draft, 해수면과 바닥 사이가 넓음.)

ex)여수 8-10M, 부산, 울산 12-17M (전세계에서 홍콩, 상하이, L.A, 싱가폴, 나폴리 draft가 깊음)

*서해는 서울에서의 접근성은 좋지만 갯벌 때문에 Draft 불안정, 동해는 서울에서의 접근성 x.

  

+ Physical supplier (Independent, 수입자라고도 칭함)

 

+ Port Elizabeth에 대해.

남아공 희망봉 근처에 위치

브라질에서 Tanker Bulk(나무) 수요가 많음 

브라질은 유가는 싸지만 정유사가 국영 기업으로 한 곳 밖에 없음. 완전한 갑 중 갑, Delay 많음.

남아공 DurbanBP, Shell 및 마다가스카 포트 루이스엔 Shell (독점)이 있음, 180cst 만 보유

 

 

 

 

 

많은 분들께 꿀팁을 함께 지금!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카스
Posted by MimimK
,

포트 와인의 주정 강화

주정 강화를 시행하면서 효모가 죽어 19~22% 사이의 안정된 스위트 와인을 생산합니다. 그러나 모든 포트 와인은 스위트한 스타일이지만, 일부는 스위트한 정도가 더 높습니다. 각 생산자는 특정 스타일을 갖고 있으며, 주정 강화의 시점은 최초 머스트 중량과 필요한 당분 수준에 따라 다릅니다.

주정강화에 사용되는 증류주인 아구르아르덴테는 77% 이상 되지 않습니다. 더욱이 주정 강화 전의 알코올 도수가 낮기 때문에 상당량의 증류주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평균적으로 포트 한 병 총량의 20% 정도가 증류주입니다. 굳이 비교하자면 피노 셰리 한 병에 들어가는 증류주의 양은 대략 총량의 3.5%정도에 불과합니다.

포트 숙성

포트 와인은 보통 숙성을 위해 빌라 노바 데 가이아까지 하류로 운송됩니다. 이 지역의 서늘한 해안 기후는 포트 와인의 느린 숙성에 적합합니다. 일부 와인, 특히 토니 포트를 염두에 두고 생산된 와인의 기온이 높아 빨리 숙성되고 색상이 소실되는 도우로 강 상류에서 저장됩니다. 냉난방 설비를 완전히 갖춘 저장고가 건축되면서 결과적으로 더 많은 와인이 포도밭 현지에서 숙성되고 색상이 소실되는 도우로 강 상류에서 저장됩니다. 냉난방 설비를 완전히 갖춘 저장고가 건축되면서 결과적으로 더 많은 와인이 포도밭 현지에서 숙성되게 되었습니다.

포트 숙성은 전통적으로 언제나 오래된 소형 및 초대형 오크통에서 시행되었습니다. (현재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한 사용됨). 새 오크 풍미는 포트에 바람직한 특성은 아닙니다. 레드 포트에 사용된 통 유형의 직접적 결과물인 두 개의 주요 스타일로는 루비 스타일과 토니 스타일 입니다.

병입 시 루비 스타일 포트는 지배적인 1차 과일 특성을 갖게 됩니다. 생산자는 이들 와인의 풍미에 산소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자 하며, 따라서 와인을 매우 큰 오크통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탱크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만 숙성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루비 리저브 루비 레이트 보틀드 빈티지 빈티지 포트가 숙성됩니다.

비록 품질과 농축미는 다양하지만, 이들 와인은 병인시 색상이 진하고, 강렬한 1차 과일 풍미를 드러냅니다. 루비, 리저브 루비, 일부 LBV 스타일은 병입 전 청징, 여과를 거치며 보통 병 숙성으로 득을 보지 못합니다. 일부 LBV와 모든 빈티지 포트는 여과하지 않으며, 장기 병 숙성의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추가적 병 숙성 기간을 거친 후 와인은 석류석 색을 띠며 조리한 과일과 식물, 말린 자두, 가죽, 젖은 잎의 3차 풍미를 발현합니다.

한편 진정한 토니 포트는 파이프라고 불리는 배럴통에서 장기간 산화 숙성을 거칩니다. 와인은 루비 스타일과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생산되며, 색과 풍미의 차이는 전적으로 숙성의 차이에 따라 좌우 됩니다. 색은 석류석 색이 되었다가 최종적으로는 황갈색으로 변하며, 가장 오래된 토니 포트만이 완전한 갈색을 띱니다. 숙성과 함께 1차 과일 풍미는 사라지고, 건포도 풍미가 발현되며 호두, 커피, 초콜렛, 카라멜의 풍미가 동반됩니다. 이 와인은 목재 숙성 중 침전물을 생성하므로 병입 준비 과정에서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합니다. 출시 시점이 되면 완전히 발전한 상태이기 때문에 추가 병 숙성의 혜택은 보지 못합니다.

포트의 대다수는 심지어 빈티지 스타일 조차도 각각 다른 부지에서 재배된 다양한 품종의 복합적인 블렌드이며 통상 혼합은 병입 전 숙성의 전 기간을 통해 시행되는 지속적인 과정입니다.

포트의 종류

대다수의 포트는 레드 포트입니다. 화이트와 로제 포트 역시 소량 생산되기는 합니다.

저가 포트 와인

루비; 보통 연수가 1년에서 3년 사이인 와인의 블렌드입니다. 프리미엄급 루비 스타일의 농축미, 복합미 또는 탄닌은 부족한 와인입니다.

토니; 이 와인은 다른 토니와 마찬가지로 갈색을 띠지만, 루비 포트보다 오래된 와인이거나 산화 숙성을 장기간 거친것은 아닙니다. 생산지는 이 색상을 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옵션을 활용하는데, 바이쇼 코르고 지역에서 생산된 좀더 가볍게 추출된 와인 또는 좀 더 가벼운 와인의 사용, 화이트 포트 혼합, 도우로에서의 일정 기간 고온 숙성 또는 색상 제거를 위한 강도 높은 청징 등을 활용합니다.

특별 범주의 포트 와인

리저브/레제르바; 가장 기본적인 포트보다 품질이 더 높은 루비와 토니 포트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라벨용어입니다. 리저브 토니는 최소 6년 동안 반드시 목재 숙성해야합니다.

레이트 보틀드 빈티지; 병입 전 4년에서 6년까지 숙성되는 빈티지 와인입니다. 대형 오크통에서 보통 시행되는 추가 숙성은 빈티지 포트와 비교해 출시 시점에 와인을 좀 더 접근하기 편하도록 만들어줍니다. LBV외 대다수는 청징, 여과 됩니다. 고품질 리저브 루비 포트와 스타일면에서 유사한 이 와인은 출시 시 음용 가능하며, 추가적인 병 숙성으로부터 거의 혜택을 보지 못합니다. 상대적으로 극소수의 LBV는 여과를 하지 않습니다. 이 와인은 빈티지 포트와 스타일 면에서 유사하며 종종 병숙성을 통해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빈티지 포트와 비슷하게 여과되지 않은 LBV는 병 속에 침전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서비스하기 전 종종 디켄팅을 필요로 합니다.

연수가 명시된 토니

빈티지; 생산자는 수확 후 2년 뒤에 비티지 포트 출시를 위한 의향을 반드시 등록해야 하며, 와인은 반드시 수확수 늦어도 3년차에는 병인 되어야 합니다. 병입 전 모든 숙성 과정은 대형 오크통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탱크에서 시행되어야 하며 와인은 청징과 여과를 거치지 않습니다. 출시 당시 와인은 농축미와 탄닌이 가장 강한 포트가 됩니다. 일부 소비자는 어린 상태에서 즐기는 것을 선호하지만 이들 와인은 수십년간 병입 상태에서 숙성될 수 있으면 숙성과 함께 많은 침전물을 생성합니다.

다음엔 루더글랜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분들께 꿀팁을 함께 지금!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카스
Posted by MimimK
,

포트는 알코올 도수가 높은 스위트 와인을 만들기 위해 발효 중인 포도즙에 포도 증류주를 첨가해 생산합니다. 이 방식은 18세기부터 이 지역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지금은 전 세계적으로 유사한 스타일의 와인 생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포트는 레드, 화이트, 로제 스타일로 생산되지만, 레드 와인에 대해 중점을 두어 설명할 예정입니다.

위치

포트 와인 산업 활동은 도우로 강의 어귀 반대편에 위치한 포르토와 빌라 노바데 가이아, 이 두 해안 도시와 두 마을의 70킬로미터 상류에서 시작하는 포도밭 지역 사이에 분산되어 있습니다. 이 두 지역은 확연히 구분되며 별도 지역으로 간주될 것입니다.

포도밭 관련 사항

포도밭 지대는 3개의 하부 지역으로 분류 됩니다. 바이쇼 코르고는 가장 가벼운 스타일의 와인을 생산하며, 시마 코르고에는 가장 많은 수의 최상급 포도밭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드문드문 조성되어 있는 도우로 수페리어 지역 역시 최고 품질 와인의 원산지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기후는 일반적으로 포도밭 지대는 세히 도 마롱 산맥이 비를 머금은 서늘한 대서양 바람으로부터 보호해 주기 때문에 따뜻한 대륙성 기후를 갖습니다. 그러나 기후가 일률적이지는 않습니다. 서부의 바이쇼 코르고는 하부 지역 중에서도 가장 서늘하고 습도가 높습니다. 동쪽으로 갈수록 포도밭은 점점 더 고온 건조해집니다.

생산자들은 봄 서리에 대처해야 하며, 가끔 지나치게 많은 강우량은 수확 뿐 아니라 계화에도 악영향을 미칩니다. 여름 중 낮 기온이 매우 높을 수 있고, 생장기 내내 강우량은 아주 적습니다. 포도 재배는 편암기반암 덕분에 가능하며, 수직으로 파열된 구조이기 때문에 포도나무 뿌리가 겨울비에 의해 축적된 깊은 수분층까지 접근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지형학; 바이쇼와 시마 코르고의 포도밭은 도우로 강둑과 강변 지류의 매우 높고 가파른 경자시에 위치합니다. 지형이 아주 다양하여, 포도 재배자는 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도 변화로 인해 경사지의 상단과 하단에 명확한 기온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좀 더 북쪽 방향에 입지한 일부 부지는 태양의 열기를 어느 정도 피하게 해 주기 때문에 일부러 활용되기도 합니다.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가파른 경사지의 포도밭 관리는 방대하며,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입니다.

전통적으로 포도나무는 소칼코스라 불리는 돌 벽이 지지하는 좁은 계단식 층에 식재 되었습니다. 각 층 마다 불과 몇 줄 정도의 포도나무만이 식재 가능하며 포도나무의 기계화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돌 벽을 유지하는 것도 많은 비용이 듭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칼코스 구조는 여전히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새로운 유형의 계단층이 개발되면서 기계화가 가능하게 되었는데, 이를 파타마레스라 부릅니다. 지지벽 없이 설치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각 계단층이 트랙터가 접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넓다는 것입니다. 경사지 각도가 작은 경우 계단식 체계가 아닌 비냐 아오 알코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포도나무는 경사지 위, 아래로 식재되며 언덕을 가로지르는 길을 통해 윈치로 작동되는 기계 접근이 가능합니다. 두 구조 모두 침식되기 쉽습니다. 특히 가장 가파른 경사지에는 적합하지 않은 비냐 아오 알토의 경우 침식 가능성이 더 큽니다.

포도 품종

레드 포트의 대다수는 다양한 품종의 복합적인 블렌드이며, 도우로에서는 검은 과일과 꽃 아로마를 지니며, 껍질이 두껍고 탄닌이 많은 경향이 있습니다. 프리미엄 포트 생산에서 선호하는 5개 품종은 투리가 나시오날, 친타 호리즈, 투리가 프랑카, 친타 바호카, 친토카옹입니다.

양조장 관련 사항

발효

알코올 도수가 5~9%에 도달하면 스위트 와인을 생산하기 위해 주정 강화하고 이에 따라 발효가 중단 됩니다. 이는 곧 발효가 전형적으로 24시간에서 26시간 정도만 지속됨을 의미합니다. 시간 제약을 고려할 때 레드 와인 생산에 사용되는 통산적인 추출 기법은 포트 와인에 기대되는 색상과 탄닌 수준을 갖춘 와인 생산에 충분할 만큼 강력하지 않습니다. 대신 다른 추출 기법을 사용합니다.

발로 밟기

이 방식은 포트 와인 생산에 사용되는 전통적인 추출기법입니다. 라가레스라 불리는 얕은 화강함 용기에서 3~4시간 동안 포도를 밟습니다. 발효가 진행되면 밟기는 중단하고 더 많은 색과 탄닌을 추출하기 위해 캡을 정기적으로 밑으로 치면서 젓습니다. 이 방식은 대단히 노동 집약적이기 때문에 지금은 널리 이용되지 않지만 여전히 일부 프리미엄 와인 생산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자동양조기

추출 자동화를 위해 사용된 최초 방식 중 하나로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으깬 포도를 봉인된 통에 담으면, 발효로 인해 생성된 CO2 압력이 상승하면서 포도즙은 관을 따라 보관 탱크로 이동합니다. CO2 압력이 설정 수준에 도달하면, 밸브가 자동으로 풀리면서 보관 탱크의 와인은 더 이상 기체 압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캡 위로 쏟아져 내립니다. 밸브가 다시 자체 설정되고, 동일 과정이 다시 시작됩니다. 이 방식은 펌프 순환과 유사하지만, 발효가 매우 활발한 경우에는 주기가 15분에서 20분 마다 반복되기 때문에 와인과 껍질의 접촉량이 훨씬 많습니다. 자동양조기 시스템에서는 발효 전 추출이 제한되며, 많은 최신 자동양조기의 경우 이 과정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계 주걱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 피스톤 플런저, 로봇형 라가르

다음 포스팅에서는 포트 와인의 주정 강화, 숙성 그리고 포트 와인의 다양한 종류에 대해 더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소믈리에 #와인전문가

 

많은 분들께 꿀팁을 함께 지금!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카스
Posted by MimimK
,

저번 포스팅에서는 셰리의 전반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이번에는 추가적인 셰리 양조 방법과 다양한 셰리 스타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혼합과 최종 처리

솔레라 시스템의 장점은 일관된 스타일과 품질 와인 생산을 가능케 한다는 것입니다. 일부 셰리는 단일 솔레라 시스템만 가지고 생산하지만, 이런 경우는 비교적 드뭅니다. 최상급 셰리를 포함해 대부분의 셰리는 몇 개의 솔레라 시스템을 사용해 생산한 와인의 블렌드입니다. 예를 들어 아주 오래된 올로로소의 경우 자체로는 균형이 잡히지 않은 매우 오래된 와인의 강렬한 풍미 혼합을 통해 어린 와인의 신선합과 잘 조화시킵니다. 대형 생산지는 많은 다른 솔레라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블렌드 구성에 사용할 수 있는 다채로운 연수와 스타일의 와인을 부여합니다.

대부분의 셰리는 병입 전 청징과 여과를 거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개입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는 추세입니다. 특히 생물학적 숙성을 거친 와인의 경우는 이러한 추세가 더욱 두드러지는데, 개입을 많이 할 수록 풍미의 생동감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셰리의 스타일

드라이 스타일

피노와 만자니야; 피노와 만자니야는 생물학적 숙성만을 거칩니다. 이 와인은 연한 레몬색이며, 보통 플로르 활동에서 기인한 빵 풍미를 동반한 감귤류 과일, 아몬드, 허브 아로마를 발현합니다. 이 풍미는 종종 톡 쏘거나 짜다고 표현합니다. 이들 와인은 병 숙성으로 향상되지 않으며 가능한 빨리 마셔야 합니다.

해안 마을인 산루카 데 바라메다에서 숙성된 와인은 만자니아 데 바라메다라 불릴 수 있으며 이는 헤레즈 DO와는 별도의 DO에 해당합니다. 이 와인은 헤레즈의 피노와 완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생산되지만 해안 지역의 더 서늘하고 습한 환경 덕분에 1년 내내 두꺼운 층의 플로르 생성이 보장됩니다. 결과적으로 톡 쏘는 아로마가 더욱 강렬한 와인이 만들어집니다. 만자니야는 만자니아 피나라 불리는 피노 스타일 와인으로 가장 유명합니다. 최소한의 청징과 여과를 거친 와인을 보통 엔 라마로 라벨에 표시합니다.

올로로소; 산화 숙성만을 거친 와인입니다. 갈색이며, 무거운 바디에, 토피, 가죽, 향신료, 호두와 같은 산화 풍미가 지배적입니다. 매우 오래된 올로로소는 아주 농축된 풍미를 발현할 수 있으며, 솔레라 시스템에서 더 어린 와인과 혼합되었을 때 균형을 이루는 떫은 풍미를 지닙니다.

아몬티야도; 일정 기간 산화 숙성을 거친 후 생물학적 숙성을 시킨 와인입니다. 생물학적 숙성이 일단 완료되면 17%까지 다시 주정 강화 시켜 플로르를 죽게 한 다음 아몬티야도 솔레라 시스템에 주입합니다. 이 와인은 호박색이나 갈색을 띠며 올롤로로 보다는 바디가 더 가볍고, 효모에서 추출된 아로마가 산화 아로마와 결합됩니다. 비록 효모 아로마는 와인의 연수가 증가함에 따라 천천히 약해지기는 하지만 인지가 가능합니다. 아몬티야도는 올롤로소만큼 오랜 기간 숙성될 수 있습니다.

팔로 코르타도; 진귀한 스타일의 셰리입니다. 아몬티야도의 아로마 특성을 갖고 있지만, 올로로소의 바디가과 풍부함을 지닌 와인으로 정의됩니다. 일부 생산자는 2차 분류에서 팔로 코르타도를 선별하지만 모두 그렇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제조자들은 여러가지 다른 방식으로 팔로 코르타도를 생산합니다. 이 셰리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아몬티야도와 올로로소 셰리와 구별하기가 아주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항상 품질이 매우 높은 와인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자연적으로 스위트한 스타일

이 와인은 모두 산화 숙성을 거칩니다. 귀한 와인으로 당분을 첨가하는 셰리의 한 성분으로 더 자주 사용됩니다.

페드로 시미네즈

이 것은 진한 갈색에 감미로운 단맛을 지닌 와인으로 종종 잔당이 500g/L 까지 이릅니다. 뚜렷한 말린 과일, 커피, 감초 아로마를 발현합니다.

뮈스카; 뮈스카 와인은 PX와 유사한 특성을 갖지만 품종 특유의 말린 감귤류 과일 껍질 특성을 그대로 보유합니다.

당분 첨가 스타일 셰리

페일 크림; 보통 정류한 포도 머스트 농축액 RCGM을 사용해 당분을 첨가하는데, 당분 첨가 전 반드시 단기간 생물학적 숙성을 거쳐야 합니다. 외관상 피노와 유사하지만 뚜렷한 플로르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중간 셰리와 크림 셰리 저가 및 최고 프리미엄급 와인 모두를 포함하는 아주 다채로운 범주입니다. 중간 셰리는 생물학적 숙성과 산화 숙성에서 기인한 특성 모두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반면 크림 셰리는 산화 특성만을 발현합니다. 이들 와인은 특히 프리미엄 와인의 경우 PX 와인을 사용해 당분을 첨가합니다. 최고의 와인은 드라이 와인의 토피, 가죽, 호두 풍미가 스위트 와인은 말린 과일 풍미와 절묘한 조화를 이룹니다. 저가 와인의 경우 물리는 맛이 나며 복합적인 풍미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연수가 명시된 셰리

네 범주가 존재합니다. 최상위 범주는 VOPS, 매우 오래된 귀한 셰리, VOS 매우 오래된 셰리, 각각 최소 30년, 20년 이란 것을 의미하며 병입되는 각 회분마다 이 규정에 준수하는지에 대한 심사를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하위 범주는 12년산과 15년산 으로 하나의 전체 솔레라 시스템에 적용되므로 더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범주입니다. 아몬티야도, 팔로 코르타도, 올로로소, PX안 연수를 명시할 수 있는 자격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세 가지 종류의 주정 강화 와인 중 셰리의 다양한 스타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포트 와인에 대한 전반과 다양한 스타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께 꿀팁을 함께 지금!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카스
Posted by MimimK
,

헤레즈 데 라 프론테라 라는 남부 스페인 소도시를 둘러싼 포도밭입니다. 헤레즈는 셰리 산업의 중심지이며, 이 지역 와인은 시회 경계 내 또는 산루카 데 바람메다와 엘 푸에르토 데 산타마리아라는 두 개의 더 작은 해안가 소도시 중 하나에서 반드시 숙성되어야합니다.

포도밭 관련 사항

기후 및 토양

헤레즈는 아주 덥고 햇빛이 좋은 지중해성 기후 지역이지만, 해안에 인접한 포도밭은 평균적으로 약간 더 서늘하고, 포니엔테라 알려진 서늘하고 습한 서풍의 지배적 영향의 혜택을 봅니다. 경우에 따라 동쪽에서 불어오는 무덥고 건조한 레반테로 인해 기온이 치솟기도 합니다. 이로 인한 추가적 열기는 포도나무에 심각한 스트레스를 주고, 포도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해안 지역이기 때문에 다수의 다른 스페인 지역에 비해 연간 강우량은 많지만 성장기 강우량이 제한되며 이 지역의 알바리사 albariza 토양은 포도나무가 이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알바리사 토양은 백악질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배수가 잘 되지만 토양이 깊고 수분 보유력이 탁월해 고온 건조한 여름 동안 포도나무가 잘 버틸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물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가을과 겨울 중 토양이 함유하는 수분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포도나무 열 사이로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서 물을 막아 흘러내리는 양을 줄입니다. 이는 수확이 끝난 후에 실시하며 봄에 토양을 다시 평평하게 정돈합니다. 알바리사 토양의 표면이 딱딱해지면서 토양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여름 동안 수분 보유력이 더욱 좋아집니다.

포도 품종

헤레즈에서 세 개의 포도 품종이 허용됩니다.

팔로미노; 이 포도 품종은 헤레즈 재배량의 대다수를 차지합니다. 자연 산도가 낮고 단일 품종 특유의 아로마가 부족한 와인을 생산합니다. 이 때문에 와인의 스타일이 생물학적 숙성 또는 산화 숙성에 의해 주로 결정 되는 셰리의 생산에 이상적입니다.

페드로 시미네즈 PX; 팔로미노와 마찬가지로 PX는 품종 특유의 풍미가 거의 없습니다. 껍질이 얇아 햇볕에 말리는데 이상적이며 따라서 스위트 셰리 생산에 사용됩니다. 헤레즈에서 재배되는 양은 극히 적습니다. 사용되는 포도의 대부분은 이 품종이 더욱 성공적으로 재배되는 이웃한 몬티아-모릴레스 지역에서 조달합니다. 이 포도 품종이 셰리 생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은 규정의 특이한 점입니다.

뮈스카 오브 알렉산드리아

이 품종은 아주 극소량 재배되며, PX와 마찬가지로 스위트 와인 생산에 사용됩니다.

양조장 관련 사항 (드라이 스타일)

포도 처리와 발효

팔로미노는 헤레즈의 드라이 와인 생산에 사용됩니다. 추수기의 높은 기온을 고려할 때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포도는 반드시 최대한 신속히 압착기까지 운송되어야합니다.

전형적으로 20~25도 온도 사이에서 대형 스테인레스 스틸 탱크를 이용해 발효합니다. 화이트 와인에 있어서는 높은 온도이지만 중립적인 기본 와인을 생산하고자 하는 셰리 생산자의 목표와 잘 맞아 떨어집니다. 기본 와인은 알코올 도수가 약 11~12%정도의 드라이한 와인입니다.

1차 분류

가을 중에 와인은 생물학적 숙성을 거칠 와인과 산화 숙성을 서칠 와인, 두 종류로 분류합니다. 종류의 결정은 와인의 풍미 특성에 따릅니다. 전형적으로 섬세함을 갖춘 좀 더 가볍고, 색이 연한 와인은 생물학적 숙성용으로 선별되고, 좀 더 진하고 무거운 와인은 산화 숙성용으로 선택됩니다. 이 단계에서 플로르 라는 막을 형성하는 효모가 모든 와인의 표면에서 성장하기 시작합니다.

분류의 정확한 기준은 생산자의 양조장 스타일에 따라 다양하지만 단순히 운에 맡기는 과정의 일부인 것만은 아닙니다. 생산자는 자체 브랜드 판매 수요를 맞추기 위해 특정 스타일의 새로운 와인을 특정량 필요로 하며, 이를 염두에 두고 와인을 분류합니다. 단순한 지침으로 상대적으로 서늘한 해안 지대의 포도밭에서 재배된 포도로 만들 와인 및/또는 낮은 온도에서 발효된 와인의 경우는 생물학적 숙성에 적합합니다. 반면 좀더 따뜻한 내륙 지역 포도밭에서 재배된 포도로 만든 와인 높은 온도에서 발효된 와인은 산화 숙성에 보다 적합합니다.

주정 강화와 소브레타블라

일단 분류가 이루어지면, 96%의 중립적 증류주를 사용해 와인을 주정강화 합니다. 그 다음 와인을 솔레라 시스템에 합치기 전 몇 달의 기간 동안 따로 구별해 둡니다. 이 단계를 소브레타블라라고 합니다.

생물학적 숙성용 와인; 이 와인은 15~15.5% 사이로 주정 강화 됩니다. 이 정도가 플로르 생성에 있어 이상적인 알코올 도수입니다. 이 와인에 있어 소브레타블라 기간이 매우 중요합니다.

산화 숙성을 위한 와인; 이와인은 17%까지 주정강화 됩니다. 이 도수에서 플로르가 죽습니다. 플로르 풍미의 발현 여부를 기다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들 와인의 품질 측면에서는 소브레타블라 기간이 그리 결정적이지는 않습니다.

양조장 관련 사항 ( 천연 스위트 스타일 양조)

포도 처리; 일단 수확하고 나면 천연 스위트 스타일 와인 생산에 사용될 포도를 당분 농축을 위해 햇볕에 건조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건포도 풍미 역시 발현됩니다.

발효와 주정 강화; 일단 원하는 머스트 중량이 달성되면, 포도를 압착하고, 발효를 시작합니다. 포도가 아주 농축된 즙을 생산하기 때무에 효모는 당분을 발효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어, 불과 몇 도 정도의 알코올만을 전환해 냅니다. 일단, 발효가 중단 되면, 머스트를 17%까지 주정 강화 합니다.

솔레라 시스템 내 숙성; 셰리 버트라 불리는 600리터 오크통에서 숙성되어야 합니다. 버트는 오크 풍미가 모두 제거 되오록 셰리 숙성에 사용되기 전 먼저 비주정 강화 와인을 숙성시키는데 종종 사용됩니다. 산소가 와인과 접촉하기 위해 오크가 필요하며, 버트를 5/6만 채움으로써 이를 더 촉진할 수 있습니다.

숙성 환경을 서늘하게 유지하는 것은 헤레즈에서는 특히 어려운 일입니다. 전통적인 보테가에는 두껍게 회반죽을 칠한 벽과 높은 천장, 서늘한 포니엔테 바람 방향을 향해 난 창문이 있어 상대적으로 서늘한 환경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이들 건물은 적정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면을 축축한 상태로 유지합니다.

많은 분들께 꿀팁을 함께 지금!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카스
Posted by MimimK
,

뉴질랜드의 와인산지 저번에 알아본 것에 이어서 북섬의 와이라라파, 마틴버러 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와이라라파

와이라라파 지역은 북섬 남쪽 끝 부분의 방대한 지역에 펼쳐진 다수의 작은 포도밭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지역은 피노누아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마틴버러의 작은 마을 주변입니다. 여름 기온은 높을 수 있지만 일교차가 커 이 포도 품종 재배에 적합한 조건을 구성합니다. 생산되는 와인은 중간에서 무거운 바디이며, 진한 자두와 향신료 풍미와 함께 숭성된 풍미를 지닙니다.

주요 산지와 와인; 남성

말버러

말버러는 뉴질린드 포도 재배의 주요 중심지이며, 소비뇽 블랑 sauvignon blanc이 재배량의 대다수를 차지합니다. 대부분의 포도밭은 두 개의 인접한 삼각강 계곡, 단연코 가장 큰 규모인 와이라우와 아와테레에 위치합니다. 와이라우 밸리의 기후는 햇살이 내리쬐는 낮 시간이 길다는 점에 있어서 마틴버러와 매우 흡사하지만, 이 큰 계곡은 획일적인 기후와는 거리가 멉니다. 특히 와이라우 밸리의 남쪽에는 측면 계곡이 많아서 생산자들은 다양한 방향과 고도에 대처해야 합니다. 아와테레 밸리는 더 건조하고 서늘하며 바람이 많이 붑니다. 결과적으로 이곳의 소비뇽 블랑은 산도가 더 높고, 두드러진 허브 특성을 지니며, 와이라우 밸리의 일부 와인에서 볼 수 있는 열대 과일 풍미는 결여되어 있습니다. 샤르도네와 피노 누아도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스틸 와인과 스파클링 와인 생산 모두에 사용됩니다. 피노 누아로 만든 스틸 와인은 종종 중간 바디에 양질의 탄닌과 체리와 크랜베리 풍미를 발현하며, 더 많은 생산자들이 이 품종에 관심을 갖기 시작함에 따라 점점 더 인상적인 와인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리슬링과 피노 그리도 이곳에서 성공적으로 재배되고 있습니다.

넬슨

남섬 북부 해안 지역의 와이라우 밸리 북서부에서 위치한 넥슨은 말버러에 비해 더 서늘하고 습합니다. 소비뇽 블랑, 피노 누아와 피노 그리가 주요 품종입니다.

캔터베리

캔터베리에는 두 곳의 포도 재배 중심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크라이스트처치 시의 바로 서쪼고에 있는 평야에 위치하며,  다른 하나는 북쪽에 위치한 더 넓은 지역인 와이파라밸리에 있습니다. 평야 지역은 북서풍의 따뜻한 영향을 약간 받기는하지만 태평양의 냉각 효과에 특히 잘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 따뜻한 바람은 산맥에 의해 해양에 덜 노출되는 와이파라에 더욱 큰 영향을 줍니다. 소비뇽 블랑, 피노 누아, Pinot noir가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지만, 와이파라는 또한 고품질 리슬링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센트럴 오타고

이 지역은 남부 뉴질랜드 알프스 구릉지대 내륙에 위치한 지역입니다. 포도밭 지역은 여러 계곡에 걸쳐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어 방향, 토양, 고도가 다양합니다. 다른 뉴질랜드 지역과는 대조적으로 이곳은 대륙성 기후 지역으로 봄과 가을에 서리 피해의 위험이 매우 큽니다. 여름은 따뜻할 수 있지만 포도 품질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성장기 일교차가 매우 큽니다. 햇볕이 매우 강해 이 지역의 와인은 종종 알코올 도수가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피노 누아는 센트럴 오타고 전체 재배량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이들 와인은 무거운 바디에 농축되고 숙성된 붉은 과인 풍미를 지닌 풍부한 과즙과 역동적인 풍미를 발현합니다. 다른 중요한 품종으로는 피노 그리, 리슬링, 샤르도네가 있습니다.

와인의 보관 및 서비스

와인의 보관

장기 보관의 경우, 극심한 추위와 더위를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모든 와인은 서늘하고 일관된 온도에서 보관해야합니다. 장기 보관에 있어서 최악의 장소는 부엌이며 이는 온도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입니다. 냉장을 오래 할 경우 코르크가 단단해지고 탄력을 잃게 할 수 있고, 봉인에 결함이 생기는 결과를 가져오며, 공기가 침투하여 와인이 밋밋해집니다. 스파클링 와인의 경우 기포가 소실됩니다.

코르크 마개로 봉인된 와인 눕혀서 보관하여 와인과 코르크가 계속 접촉하도록 합니다. 코르크가 마를 경우 공기가 침투할 수 있으며, 공기는 와인을 산화시킵니다. 스크류캡은 세워서 보관해도 됩니다.

강한 빛으로부터 와인을 보호해야 합니다. 자연광과 인공 조명은 와인을 가열하며 와인이 최적 상태가 되기도 전에 밋밋해지고 신선함을 잃게 만듭니다. 인공 조명은 일부 와인에 불쾌한 풍미를 발현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와인이 흔들리지 않도록 진동이 없는 곳에서 보관해야합니다.

와인 서비스

서비스온도,

이는 스파클링와인, 스위트 와인, 가벼운 화이트 와인, 무거운 화이트 와인, 가벼운 바디 레드 와인, 중간 무거운 바디 레드 와인 별로 모두 서비스 온도가 다르니 유의를 해야 합니다.

와인 잔

매우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와인 잔이 와인 서빙에 사용되며, 각각의 잔은 특정 와인의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디자인 되었습니다. 적합한 잔을 사용함으로써 와인을 마시는 경험을 향상시킬 것 입니다.

레드와인은 큰 잔에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으면 와인의 향과 풍미가 잘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화이트 와인과 로제 와인은 중간 정도 크기의 잔을 이용하여 신선합 과일 풍미가 잔의 위쪽 부분에 모이게 합니다.

스파클링 와인은 플루트 잔에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 모양의 잔은 기포가 와인 잔 위에서 터지기 전에 더 많은 와인을 통과하게 하여 와인의 기포의 효과를 향상시킵니다. 이 때무에 과거에 주로 사용했던 컵 받침 모양의 잔은 기포를 매우 빨리 사라지게 하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주정강화 와인은 알코올 도수가 높기 때문에 보통 작은잔에 서빙합니다.

많은 분들께 꿀팁을 함께 지금!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카스
Posted by MimimK
,

기후와 포도 재배

뉴질랜드는 태평양의 외떨어진 곳에 위치(가장 근접한 육지인 호주에서 1,900KM 위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해양성 기후를 보입니다. 뉴질랜드 남섬의 기후는 서늘한 반면 북섬은 조금 더 따뜻합니다. 일조 시간이 길고, 밤에는 해풍의 냉각 영향을 받으며, 과실이 익는 시기가 긴 덕분에 산도는 유지하면서도 당분과 풍미의 완숙도가 최고에 다다를 수 있습니다. 남섬의 포도밭은 동쪽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어서 섬 중앙의 산에 의해 비를 머금은 서풍으로부터 보호를 받습니다. 그러나 포도밭 지역의 다수는 풍부한 강우량을 경험하며, 이는 포도가 익는 시기에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다행히 토양이 배수가 잘 되는 경향이 있어서 침수를 겪지 않습니다. 그러나 평지에 위치한 포도밭은 지나치게 비옥하여 순과 잎이 관도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포도나무가 지나치게 번성하는 문제로 인해 뉴질랜드 포도 재배자는 격자구조물 설치와 기타 캐노피 관리 기법 분야의 전문가가 되었습니다.

뉴질랜드의 와인 산업은 포도밭 관리와 와인 양조장 관행의 환경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 헌신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환경친화 와인재배는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포도 재배자들을 도와 와인 양조장 표준을 수립하는 계획입니다.

포도 품종 및 와인 양조

청포도 품종

1990년 대 초반 이후부터 소비뇽 블랑 sauvignon blanc 은 뉴질랜드의 국가 대표 포도 품종으로 입지를 확고히 다져 왔으며, 와인 생산량의 다수를 차지합니다. 톡 쏘는 듯한 아로마와 구스베리, 시계꽃 열매의 강렬한 풍미, 높은 산도는 전 세계 소비뇽 블랑 생산자들에게 표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북섬과 남섬의 와인 스타일 간에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더 따뜻한 기후의 북섬은 열대 과일 풍미가 더 강한 소비뇽 블랑을 생산하는 반면, 남섬은 산도가 더 높고 녹색 피망과 구스베리 풍미를 지닌 와인을 생산합니다. 과일 풍미와 아로마를 유지하기 위해 서늘한 온도에서 비활성 용기를 사용해 발효하는 경우가 가장 많지만 일부 생산자는 차별화를 위해 오크 숙성한 스타일 역시 생산합니다.

샤르도네 역시 널리 재배되고 있습니다. 샤르도네를 기반으로 와인을 생산하는 다른 국가와 비슷하게 많은 양조 기법이 모색되고 있으며, 그 결과 생산되는 와인이 아주 다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스타일은 프랑스산 오크에서 기인한 토스트와 달콤한 향신료의 미묘한 풍미를 드러내는 농축된 감귤류와 열대 과일 풍미가 주축을 이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뉴질랜드 생산자들은 아로마가 강한 품종인 리슬링, 게뷔르츠트라미너와 아로마가 어느 정도 강한 피노 그리 품종의 막대한 잠재력을 탐구해 왔습니다. 건조한 가을과 서늘한 밤 온도는 수확 전 포도의 아로마 성분이 발현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해 줍니다. 생산되는 와인은 드라이스타일부터 스위트 스타일까지 다양하지만 오프-드라이한 스타일이 가장 일반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적포도 품종

피노누아는 소비뇽 블랑 다음으로 뉴질랜드에서 두 번째로 많이 재배되는 포도 품종입니다. 남섬 전체와 북섬의 일부 선별된 부지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습니다. 남섬 전체와 북섬의 일부 선별된 부지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뉴질랜드 피노 누아의 특성은 역동적인 과일 풍미, 잘 익은 양질의 탄닌, 부드러운 질감을 보유하며, 종종 알코올 도수가 높은 반면 두드러진 지역 스타일 역시 부상하고 있습니다.

피노 누아에 비해 재배량은 아주 제한되어 있지만 메를로가 두 번째로 많은 생산량을 자랑하는 적포도 품종입니다. 카베르네 쇼비뇽은 탄닌과 카시스 풍미를 더하기 위해 종종 혼합되어 보르도 탄닌과 카시스 풍미를 더하기 위해 종종 혼합되어 보르도 스타일 블렌드를 생산합니다. 뉴질랜드의 모든 와인과 마찬가지로 이들 블렌드는 순수한 과일 풍미로 유명합니다. 이들 품종의 생산은 따뜻한 기온이 적포도의 완숙에 도움을 주는 북섬에 상당량 집중되어 있습니다. 시라는 더 따뜻한 부지에서 가장 잘 재배되는 또 다른 품종이며, 호주의 더운 기후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보다 론 스타일에 더 가까운 우아한 와인을 생산합니다. 재배량은 적으나 점점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주요 산지의 와인

북섬

오클랜드; 뉴질랜드의 와인 산업은 오클랜드 주변의 북섬 북부에서 시작했으며 여전히 많은 대형 와인 양조장이 이곳에 근거를 두고 뉴질랜드 전역에서 오는 포도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오클랜드는 뉴질랜드 전역세어 오는 포도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오클랜드는 뉴질랜드에서 따뜻하고, 습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진균성 질병이 문제가 됩니다. 샤르도네 메를로 시라가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입니다. 바로 동쪽에 있는 와이헤케 섬은 최고급 와인, 특히 레드 와인으로 점점 명성을 쌓고 있습니다.

기즈번; 포도밭은 기즈번 시 근교 동쪽 해안의 넓은 삼각 평야에 위치합니다. 강수량이 많지만 기온이 높고 성장기의 일조량 역시 높습니다. 이 지역에서 재배되는 포도나무의 절반 이상이 샤르도네이며 뚜렷한 잘 익은 열대 과일 풍미를 발현합니다. 일부 무거운 바디 피노 그리 뿐 아니라 고품질의 게뷔르츠트라미너도 소량 생산됩니다.

호크스베이

쌍둥이 마을인 헤이팅스와 네이피어 가까이에 위치한 포도밭 지역 또한 북섬 동쪽 해안의 삼각 평야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주요 포도 재배 지역 중 가장 따뜻한 지역으로 일조 시간이 가장 깁니다. 재배량 기준으로 말버러 다음인 지역으로 포도밭의 토양, 방향, 고도가 아주 다양합니다. 결과적으로 생산되는 와인 스타일도 다양합니다. 김렛 그래블스란 지역은 계곡 바닥 쪽에 배수와 열 흡수가 좋은 자갈 토양을 보유한 지역으로 적포도 품종으로 명성을 쌓아왔습니다.

와이라라파와 마틴버러에 대해선 다음 포스팅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께 꿀팁을 함께 지금!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카스
Posted by MimimK
,

호주의 와인 산지 2, 서호주

빅토리아

빅토리아는 호주 본토에서 가장 서늘한 포도밭 입지 일부를 제공하는 지역입니다. 멜버른과 포트 필립 베이 주변의 와인 산지는 해양 미풍의 영향을 받아 고품질 피노 누아, 샤르도네, 스파클링 와인을 위한 포도 생산에 적합한 서늘한 기후 조건을 제공합니다. 더 내륙으로 들어가면 그레이트 디바이딩 산맥이 위치하는데, 고도와 방향이 다양합니다. 마케돈 산맥과 어퍼 골번의 높은 고도에 입지한 부지에서는 아로마가 풍부한 리슬링과 소비뇽 블랑 뿐 아니라 우아한 피노누아와 샤르도네 역시 생산합니다. 낮은 언덕 지대에 입지한 산지에서는 쉬라즈와 카베르네 쇼비뇽과 같은 만생종 적포도를 재배하는데, 이 지역 와인은 종종 스타일 면에서 호주의 더운 지역의 와인보다 더 신선하고, 가볍습니다.

야라밸리

야라 밸리 지역은 멜버른 북동쪽에 위치합니다. 일반적으로 서늘하거나 온화한 해양성 기후이지만, 고도와 방향이 다양해 기후 또한 매우 다채로운 지역입니다. 피노 누아 품종이 이 지역 특산품 입니다. 고품질 테이블 와인 생산 뿐 아니라 탁월한 품질의 스파클링 와인으로도 유명합니다. 야라 밸리의 피노 누아는 일반적으로 딸기, 자두, 검은 체리 등의 과일 풍미가 풍부합니다. 숙성된 부드러운 탄닌을 보유하며, 섬세한 오크 처리를 통해 복합미가 더해집니다. 최상급 와인 생산자들은 숙성 가치가 있는 와인을 만듭니다. 이 지역의 지리적 다양성 덕분에 샤르도네, 쉬라즈, 카베르네 쇼비뇽 역시 성공적으로 재배되어 다양한 스타일의 와인으로 생산되고 있으나 따뜻한 지역에서 생산되는 유사한 와인의 무게감과 비견되기는 어렵습니다.

모닝턴 반도

피노 누아와 샤르도네는 멜버른 남쪽에 위치한 모닝턴 반도 지역의 특산품이기도 합니다. 이 해안 와인 산지는 서늘하거나 온화한 해양성 기후 지역이며, 소규모 부티크 사유지의 본고장입니다 여기에서 빈티지는 개화기와 수확기 날씨의 서늘한 정도, 습한 정도, 바람의 영향에 따라 천차만별일 수 있습니다. 최고의 해에는 성장기가 길어 향이 풍부하며 정교함을 갖춘 우아한 와인이 생산됩니다. 모닝턴 반도 피노누아는 가볍고 섬세한 스타일부터 더 구조감 있는 와인까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아주 순수한 과일 특성을 드러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샤르도네는 서늘한 성장기 조건의 영향으로 감귤류 과일, 배, 사과 향을 드러내며, 높은 산도는 보통 유산발효를 사용해 부드럽게 합니다.

절롱

멜버른 서쪽에 위치한 절롱 지역은 모닝턴 반도와 비슷한 기후 조건을 가집니다. 절롱의 샤르도네는 좋은 품질로 아주 잘 알려져있으며 복합적인 농축 풍미에 무거운 바디 와인인 경향이 있습니다. 피노누아, 쉬라즈가 주요 적포도 품종입니다. 피노 누아는 흙 향을 띨 수 있으며 쉬라즈는 보통 신선하고 후추 풍미를 발현합니다. 또한 샤르도네와 피노 누아 모두 스파클링 와인에 활용합니다.

히스코트

히스코트는 빅토리아 중심에 위치하며, 야라밸리, 모닝턴 반도, 절롱보다 더 깊은 내륙에 입지합니다. 냉각 효과는 해양의 영향보다는 고도에 기인하는데, 이를 통해 기후가 온화해져 따뜻한 지역에 비해 구조감이 더 단단하고, 신선한 과일 풍미를 지닌 쉬라즈 와인 생산에 기여합니다. 샤르도네와 카베르네 소비뇽도 널리 재배되고 있습니다. 산지오베세와 템프라니요와 같은 지중해 포도 품종도 잠재력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골번 밸리

따뜻한 골번 밸리 지역은 히스코트 동부에 위치합니다. 골번 강과 연계된 호수와 시내의 영향으로 더운 열기가 다소 완화됩니다.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은 쉬라즈이지만 마르산이 지역 특산물로 어릴 때는 감귤류 과일 풍미를 드러내며, 병 숙성과 함께 꿀 아로마를 발현하는 와인을 생산합니다.

뉴사우스 웨일즈

뉴 사우스 웨일즈 호주에서 가장 오랜 와인 생산 역사를 가진 지역 입니다. 이 지역의 주요 산지는 무더운 기후의 헌터 밸리 이지만 머지, 오렌지, 코우라 지역은 조금 더 서늘한 기후 조건을 제공합니다. 시드니에서 내륙 쪽으로 그레이트 디바이딩 산맥의 서쪽 경사지에 위치한 포도밭은 높은 고도에 조성되어 매우 농축된 샤르도네와 구조감 있는 카베르네 쇼비뇽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헌터밸리

헌터밸리는 고온 다습한 기후 지역입니다. 다행히도 많은 운량과 서늘한 해양 바람은 한여름의 열기를 식히는 역할을 합니다. 안타깝게도 수확시의 불안정한 날씨로 인해 종종 어려움을 겪습니다. 부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캐노피 관리가 필수입니다. 가장 많이 재배되는 포도 품종은 세미용입니다. 세미용을 기반으로 한 와인은 바디가 가볍고, 알코올 도수가 낮으며, 산도가 높고, 처음에는 중립적이나 병 숙성과 함께 토스트 견과류 꿀과 같은 복합적인 풍미로 진화하는 경향이 있는 와인을 생산합니다. 샤르도네 역시 널리 재배되며, 오크 숙성을 거친 스타일과 비-오크 숙성 스타일 모두 생산됩니다. 쉬라즈는 생산량이 가장 많은 적포도 품종입니다. 보통 검은 과일 풍미 (블랙베리, 체리), 부드러운 탄닌, 중간 바디와 흙 풍미가 깔려 있는 와인을 생산합니다.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의 와인 산지는 이 거대한 주의 남서쪽 끝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포도 또는 와인은 같이 혼합되어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란 지명으로 라벨에 명시됩니다. 사우스 이스턴 오스트레일리아의 초대형 와인 산지에 포함되지 않는 유일한 와인입니다.

마가렛 강

저명한 마가렛 강 지역은 퍼스 남쪽으로 약 200km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해안 지역은 따뜻한 지중해성 기후를 가집니다. 강수량은 다른 호주 지역과 비교할 때 많은 편이지만 대체로 겨울에 집중됩니다. 카쇼가 널리 재배되며, 종종 보르도 스타일 블렌드로 메를로와 합께 혼합됩니다. 우아하고, 절제미가 있는 와인부터 과일 향이 풍부하고, 힘이 넘치는 와인까지 다양한 스타일이 만들어 집니다. 그레이트 서던 지역은 마운트 바커와 프랜크랜드 리버의 하부 지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 진한 색의 아로마가 강한 리슬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즈마니아

남극해에서 부는 강한 서풍의 냉각 효과에 노출된 서늘한 해양성 기후로, 일반적으로 극단적인 기후에 노출된 염려가 없는 조건을 제공합니다. 여긴 스파클링과 피노누아, 샤르도네 산지입니다.

많은 분들께 꿀팁을 함께 지금!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카스
Posted by Mimim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