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의 와인 산지 1
사우스 이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존 South Eastern Australia Zone
초대형 와인 산지 입니다. 남호주, 빅토리아, 뉴 사우스 웨일즈와 퀸즈랜드 내의 모든 GI를 포괄하며, 대다수의 호주 와인 산지에서 생산된 포도 또는 와인의 혼합을 허용합니다. 이 지리적 명시로 라벨에 표시되는 대다수 와인은 대량 생산 브랜드 와인이며 비옥한 토질에 관개 농법을 활용하는 포도밭이 위치한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의 리버랜드, 빅토리아, 머레이-달링, 뉴사우스 웨일즈의 리베리나에서 생산, 조달되는 포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들 지역은 고수확의 건강한 포도 생산이 가능하지만, 고품질 와인 생산지와 비교할 때 풍미의 농축미는 결여됩니다. 바로사, 애들레이드 힐스 또는 맥라렌베일의 와인을 혼합함으로써 이들 와인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블렌드 내 요소의 선택은 포도 품종, 원하는 스타일과 기준 소매 가격 책정에 따라 달라집니다. 리베리나는 또한 세미용을 기반으로 보트리티스의 영향을 받는 와인 생산을 전무으로 합니다. 이 지역의 가을 아침 안개는 귀부병의 발생에 유리한 입지를 제공합니다.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호주 전체 와인 생산량의 대다수가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생산됩니다. 포도밭은 주의 남동부에 집중적으로 위치합니다. 이 지역 고급 포도밭 입지의 다양성으로 인해 다채로운 성격의 와인이 생산되며, 호주에서 가장 저명하고 가장 비싼 와인의 일부는 이 GI가 주는 블렌드 다양성의 기회를 이용하며, 라벨에는 단순히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로 명시됩니다.
바로사 밸리
애들레이트 북쪽에 위치한 바로사 밸리 지역 고급 와인 생산의 중심지입니다. 따뜻하고, 건조한 기후 지역의 수령이 오래된 덤불 포도나무는 탁월한 쉬라즈, 카베르네 쇼비뇽, 그르나슈를 생산합니다. 전통적인 바로사 밸리 쉬라즈는 무거운 바디에 탄닌은 부드럽고, 달콤한 미국산 오크가 받쳐주는 잘 익은 검은 과일 풍미를 지닙니다. 숙성되면서 더욱 더 부드러워지며, 가죽과 향신료 풍미를 발현합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청포도 품종은 세미용으로 신선하고 오크 숙성하지 않은 스타일로 점점 더 많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바로사로 라벨에 명시된 와인은 바로사 지대에서 생산된 것이며, 바로사 밸리와 에덴 밸리에서 포도를 조달해 생산할 수 있습니다.
에덴 밸리
바로사 밸리 동쪽의 구릉지대에 위치한 에덴 밸리 지역은 고도에 따라 서늘하거나 온화한 기후를 보입니다. 보다 서늘한 포도밭에서는 강렬한 라임과 자몽 아로마와 강철 특성을 지닌 탁월한 품질의 리슬링이 생산됩니다. 최상급 와인은 장기 숙성이 가능하며, 10년 후에 마멀레이드와 토스트 풍미를 지닙니다. 쉬라즈, 샤르도네, 카베르네 소비뇽 또한 이 지역에서 성공적으로 재배되고 있습니다.
클레어 밸리
리슬링 역시 바로사 밸리 북서부에 위치한 클레어 밸리 지역의 특산물입니다. 이곳의 따뜻한 기후는 서늘한 오후 미풍의 영향을 받으며 밤은 춥습니다. 많은 포도 밭이 300~400m 고도에 자리잡고 있으며 일부는 최고 570m 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클레어 밸리의 리슬링은 드라이한 스타일에, 감귤류 과일과 라임 아로마가 강렬하고, 산도가 높습니다. 병 숙성을 통해 꿀, 토스트 특성을 발현할 수 있습니다. 클레어 밸리 쉬라즈는 향이 풍부하며 힘이 넘치고 구조감이 있습니다. 탁월한 품질의 카베르네 소비뇽도 생산하는데 포도밭 위치, 토양 고도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만들어집니다. 클레어밸리 최상급 레드 와인은 장기 셀러 저장이 가능합니다.
애들레이드 힐스
애들레이드 동쪽으로 25km지대에 위치한 애들레이드 힐스는 온화한 기후 지역으로 모든 포도밭이 400m 이상의 고도에 입지하고 있습니다. 강우량은 주로 겨울에 집중되며 토양의 물 저장 능력이 제한되어 있어 성장기 관개가 종종 필수적입니다. 이 지역은 천연산도가 높고 뚜렷한 감귤류 과일과 복숭아 아로마를 지닌 우아한 샤르도네와 상큼한 소비뇽 블랑 생산을 전문으로 합니다. 스틸 레드 와인 생산과 샤르도네와 혼합해 스파클링 와인을 만들기 위해 피노누아도 재배되고 있습니다.
맥라렌 베일
맥라렌 베일 지역은 애들레이드 남쪽 해안에 위치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인근 해양에서 부는 오후 미풍이 따뜻한 기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지역에서는 주로 쉬라즈, 카베르네 쇼비뇽, 메를로, 그르나슈를 기반으로 레드 와인을 생산합니다. 와인은 진한 과일 아로마와 함께 강렬한 풍미를 가지며 부드럽고 완숙된 탄닌을 보유합니다. 일부 수령이 오래된 쉬라즈와 그르나슈 포도나무를 이용해 깊이와 복합미가 있는 와인을 만들기도 합니다.
쿠나와라
쿠나와라 지역은 너비 1.5km 길이 15km에 해달하는 좁고 긴 부지로 석회암 하층토와 상단은 독특한 붉은색 토양인 테라로사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빅토리아 경계 방향으로 애들레이드 남동쪽 400km에 위치합니다. 남극 한류의 영향을 받는 해양성 기후 지역으로 온화한 기후를 갖습니다. 구름이 여름 기온을 다소 완화해 줍니다. 카베르네 소비뇽의 재배가 압도적이며 품종자체의 특징인 카시스 유칼립투스 또는 박하향이 강한 농축되고 구조감 있는 와인을 생산합니다. 최상급 와인은 숙성이 매우 잘 됩니다. 쉬라즈 메를로와 샤르도네 또한 널리 재배되고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선 빅토리아, 뉴 사우스 웨일즈,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호주, 무거운 바디 쉬라즈, 라임 풍미의 리슬링, 우아한 카베르네, 수십 년에 걸쳐 진화를 거듭하는 미묘한 풍미의 세미용.
기후와 포도 재배
따뜻하거나 무덥지만, 머레이강 체계에 인접해 기후가 다소 완화됩니다. 애들레이드 힐스나 에덴 밸리와 같은 지역은 고도에 의한 냉각 효과에 노출됩니다. 다수의 지역은 강우량이 적어 생장기 중 관개가 필수적입니다. 가뭄이 중대한 문제가 될 수 있어, 극심한 해에는 리버랜드와 머레이-달링 지역의 내륙 포도밭 지대에 물을 공급해 주는 주요 원친인 머레이 강 조차 고갈될 수 있습니다. 서늘하거나 온화한 기후의 부지를 찾고 있으며 포도 재배도 남향 위도에 더 치우친 본토와 태즈마니아의 높은 고도 입지에서 증가했습니다.
포도 및 와인의 양조
적포도 품종, 쉬라즈, 카쇼, 메를로, 피노 누아, 그르나슈
쉬라즈; 대부분의 지역에서 널리 재배됩니다. 헌터 밸리와 같은 무더운 지역과 바로사 밸리와 같은 따뜻한 지역에서는 무거운 바디의 강렬한 과일 풍미 쉬라즈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이들 와인은 종종 흙 또는 향신료 풍미를 드러내며 숙성과 함께 가죽향을 발현합니다. 이지역에서 현재 많은 와인 양조자들은 양조 과정에서 추출정도를 통제함으로써 더 절제된 스타일의 와인을 생산하고 있스비다. 무게감이 약하고 후추향이 강한 스타일은 절롱, 히스코트와 같은 더 서늘한 지역에서 일반적에서 일반적으로 생산됩니다. 이러한 특징은 다지역 기반의 블렌드 와인에 결합되어 나타나기도 합니다. 쉬라즈는 또한 카베르네 쇼비뇽과 혼합해 와인에 부드러움과 바디감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보르도 메를로 품종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카베르네 쇼비뇽; 호주 쉬라즈에 비해 일반적으로 더 어둡고 탄닌이 확고하며 산도가 더 높으며, 종종 토스트 느낌의 오크 풍미가 잘 밭쳐주는 잘 익은 검은 과일 풍미를 드러냅니다. 전통적인 산지는 쿠나와라 마가렛강 지역을 포함합니다. 호주에서 메를로는 바디감과 다육질의 자두류 과일 풍미 부여를 위해 전형적으로 카쇼와 함께 혼합된 와인에서 발견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피노누아; 다수의 호주 와인 산지에서 재배되며 최상급 와인은 야라 밸리, 모닝턴 반도, 태즈메니아와 같은 서늘하거나 온화한 부지에서 생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들 지역의 피노누아 스타일은 알코올은 중간 정도, 중간에서 높은 산도, 체리와 딸기의 전형적인 풍미를 지닌 중간 바디 와인인 경향이 있습니다.
호주의 무더운 지역은 그루나슈, 프티 베르도, 마타로와 같은 만생종에 완벽한 기후입니다. 산지오베세와 템프라니요 같은 이탈리아와 스페인 품종 또한 여름 기온과 제한된 물 공급에 잘 적응하기 때문에 최근들어 인기를 얻었습니다.
청포도 품종
샤르도네; 호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화이트 와인 포도 품종입니다. 포토밭 지대에 걸쳐 폭넓게 재배되고 있으며, 다양한 스타일의 와인으로 생산됩니다. 기본 호주 샤르도네는 다양한 지역에서 생산된 과실을 종종 혼합해 생산하며, 복숭아 풍미 부여를 위해 오크 숙성하지 않은 스타일로 생산하거나, 오크칩이나 오크 판의 도움을 받아 토스트 바닐라 풍미를 더하기도 합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애들레이드 힐스, 모닝턴 반도, 야라 밸리와 같은 서늘한 기후부터 온화한 지역과 마가렛 강과 같은 따뜻한 지역에서 생산되는 고품질 샤르도네는 앙금, 유산발효 및 오크 숙성의 신중한 사용에 의해 발현되는 미묘한 풍미가 받쳐주는 신선하고 역동적인 과일 풍미와 종종 환상적인 조화를 이룹니다.
쇼비뇽 블랑;은 내수 시장과 수출 시장 모두에서 인기가 높은 관계로 지금은 아주 폭 넓게 재배 되고 있습니다. 애들레이드 힐스의 온화한 기후 지역은 소비뇽 블라의 기준으로 그 명성을 확립해 왔습니다. 이 지역 와인은 상큼한 높은 산도와 함께 농축된 시계꽃 열매 풍미를 발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세미용;은 호주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두드러진 와인을 생산하는데 활용됩니다. 널리 재배되고 있지만 전통적 지배 지역으로 헌터 밸리를 들 수 있습니다. 헌터밸리에서 세미용은 당도는 낮고 산도는 높은 상태에서 일찍 수확합니다. 와인 양조장에서 산소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발효와 저장을 위해 비활성 용기를 사용합니다. 결과물로서 와인은 최초 병입 당시 알코올 도수가 가볍고 풍미가 거의 중립적인 와인이지만 병 숙성과 함께 꿀과 토스트의 탁월한 풍미를 드러냅니다. 이 중 최상급 와인은 20년 이상 숙성이 가능합니다.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소비뇽 블랑으로 오인될 수 있는 허브향이 훨씬 더 강한 스타일의 와인을 생산합니다. 바로사 밸리는 전통적으로 더 무거운 바디에 부드러운 스타일로 세미용 와인을 생산했으나 지금은 조기 수확을 통해 오크 숙성하지 않은 스타일이 점점 더 많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리슬링; 역시 호주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리슬링 와인은 전형적으로 어릴 때는 감귤류 과일 아로마와 풍미를 지니며, 숙성되면서 급속하게 토스트, 꿀, 휘발유 풍미로 발전합니다. 와인은 오크 숙성을 하지 않은 산도가 높은 와인으로 보통 드라이하거나 약간 오프-드라이 한 스타일로 생산되지만 일부 스위트 와인도 생산됩니다. 전통적인 리슬링 생산 지역에는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의 에덴밸리 와 클레어 밸리가 포함됩니다. 태즈마니아와 웨스트 오스트레일리아의 하부 지역인 프랭크랜드 강도 고품질 리슬링 와인으로 명성을 쌓고있습니다.
미국 와인; 캘리포니아, 워싱턴, 오리건, 뉴욕 주
미국 와인 법률, AVA
캘리포니아; 미국에서 생산되는 대다수 와인의 본거지
기후 및 포도 재배,
포도 품종과 와인 양조
적포도 품종,
카베르네 소비뇽, 가장 많이 재배, 최상급, 아주 농축된 잘 익은 카시스 풍미, 새 오크 배럴통에서 기인한 두드러진 향신료 아로마를 지닌 무거운 바디 와인. 일부 생산자의 경우 카쇼의 풍부함을 덜 강조한 스타일로 생산하여 더욱 신선한 블랜커런트 풍미,
진판델, 고르지 않게 익는 경향, 건포도 상태의 경우 알코올 도수가 높고, 종종 소량의 잔류 당분을 보유한 농축되고 무거운 바디 레드 와인, 설 익은 포도; 화이트 진판델
메를로; 탄닌이 부드럽고, 잘 익은 검은 과일 풍미, 몬테레이 북부 해안지역, 특히, 나파 소노마와 같은 서늘한 부지에서 생산, 색이 아주 진한 와인, 탄닌 부드럽고, 벨벳 느낌 바디감이 아주 감미롭고, 알코올 도수 높으며, 블랙베리와 자두 같은 전형적인 품종 특유의 풍미,
피노 누아, 러시안 리버 밸리, 로스 카네로스, 산타 마리아 밸리 와 같은 온화한 기후 지역에서 생산될 수 있습니다. 일부는 전형적인 사냥 고기와 채소 풍미를 지닌 연한 색상의 와인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잘 익은 붉은 과일 풍미,
시라; 주 전체에 걸쳐 재배, 전형적으로 무거운 바디에 풍부한 스타일,
청포도 품종
샤르도네; 지역마다 스타일 아주 다양, 센트럴 밸리에서 생산되는 저가 대량 와인은 낮은 정도에서 중간 정도의 산도에 종종 오크판이나 오크칩 사용에서 기인하는 토스트 풍미, 오늘날에는 러시안 리버 밸리와 같은 서늘한 지역에서 오크를 덜 사용해 생산한 절제된 스타일 포함해 주 전체에 다양한 범주의 프리미엄 샤르도네 와인을 생산,
소비뇽 블랑 와인은 캘리 포니아 해안 지역에서 생산되며 높은 산도와 잘익은 감귤류 풍미를 지닌 와인을 생산합니다. 센트럴 밸리는 합리적인 가격과 과일 풍미, 퓌메 블랑
와인 산지와 생산 와인
주로 센트럴 밸리, 북부 해안, 중앙 해안, 센트럴밸리,
북부 해안 지역; 해양의 영향, 서늘한 미풍이 해안 산맥과 강 계곡의 틈을 통해 붑니다.
나파 카운티; 나파밸리 AVA, 서쪽의 마야카마스 산이 소노마 카운티와 경계선을 이룹니다. 동부로는 바카 산맥이 센트럴 밸리 북쪽과 나파 밸리를 가릅니다. 가장 두드러진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계곡 남쪽 방향의 포도밭 온도를 완화시켜 주는 아침 안개와 산 파블로 만에서 불어오는 서늘한 오후의 미풍입니다. 로스카네로스는 계곡 바닥에 위치한 최남단 포도밭 지역으로 소노마 카운티까지 이어집니다. 고품질 피노누아와 샤르도네 생산의 근거지가 되기에 충분히 서늘하며, 이 두 품종은 전통적인 방식의 스파클링 와인뿐 아니라 스틸 와인 생산에도 사용됩니다.
스택스 디스트릭트, 오크빌, 루더포드, 카쇼, 메를로
소노마 카운티와 멘도시노 카운티
러시안 리버 밸리, 아주 서늘, 안개, 피노누아, 샤르도네, 드라이크릭 밸리, 구릉 지역과 바닥 모두에 아주 조밀하게 식재됩니다. 고품질 진판델, 알렉산더밸리 풍부한 과육, 무거운 바디, 서쪽으로 소노마 코스트, 멘도시노 카운티, 아주 서늘한 기후의 앤더슨 밸리
중앙 해안 지역, 산타 크루즈 마운틴과 몬테레이, 샌 루이스 오비스포와 산타 바바라 카운티,
센트럴 밸리, 새크라멘토 밸리, 산호아킨 밸리, 대량 저가 브랜드 와인, 고온 건조한 기후, 관개가 널리 활용
로디- 진판델, (샌프란시스코 만에서 불어오는 서늘한 미풍의 혜택을 받는다) 오래된 최상급 진판델
오레건, 워싱턴, 뉴욕
오리건; 북부 오리건, 윌러맷 밸리, 캐스캐이드 산의 서부에 위치, 피노 누아, 최상급, 높은 산도 잘익은 붉은 과일 풍미,
남부 오리건
워싱턴 주; 컬럼비아 밸리, 아키마 밸리, 메를로, 카쇼, 농축미 있는 시라 생산, 샤르도네,
캐나다, 온타리오주,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아이스 와인 유명
대륙성 기후, 대형 호수가 극단적인 기온을 완화, 겨울이 춥고, 기온은 장기간 영하 이하,
온타리오, 나이아가라 반도, 봄의 발아 늦추고, 서리 피해를 최소화, 리슬링, 비달
브리티시 컬럼비아, 오카나간 밸리
VQA
칠레, 동쪽의 안데스 산맥과 서쪽의 태평양 사이에 입지하는 칠레는 이례적인 지형조건을 갖고 있습니다. 풍부한 일조량과 함께 태평양과 안데스 산맥의 냉각 효과가 결합된 이곳의 지형은 칠레가 다양한 종류의 와인 스타일 생산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는 이유.
기후와 포도 재배
남북으로 900km이상 되는 지대에 펼쳐져 있지만, 동서 방향으로는 100km이상에 이르는 경우는 드뭅니다. 크게 네가지 핵심 지리지역, 센트럴 밸리
지중해성 기후, 남부쪽으로 가면 더 서늘 & 습함, 훔볼트 한류
포도 품종 및 와인 양조
적포도 품종, 카쇼, 메를로, 카르미네르, 시라, 피노누아
청포도 품종, 쇼블, 샤르도네
와인 산지 및 생산 와인
엘퀴 밸리, 리마리 밸리, 아콩카구아 밸리, 카사블랑카 밸리, 산 안토니오 밸리, 콜차구아 밸리, 마이포 밸리, 카차포알 밸리, 쿠리코 밸리, 마울레 밸리, 이타타, 비오비오 밸리
이탈리아 와인 법률,
PDO와인 - DOP
DOC, DOCG
PGI와인, IGP지만 IGT가 보편적으로 사용.
Classico, Riserva
북부 이탈리아; 무거운 바디 ~ 탄닌이 강한 바롤로 레드 섬세한 소아베 화이트 와인, 알토 아디제, 트렌티노, 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 베네토와 피에몬테 지역
기후와 포도 재배
알프스 산 구릉지대, 포강의 광대한 평원에 위치, 온화~ 여름은 건조 짧습니다. 전통적으로 고수확 포도나무 품종을 낮은 밀도로 재배, 퍼걸러 격자 구조물이 일반적, 포도 나무의 캐노피를 높게 트레이닝하여 잎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캐노피 아래 과실이 매달리도록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기 순환을 시켜 롯의 발생 위험을 최소화 할 뿐만 아니라 포도가 햇빛에 타지 않도록 보호, 요즘은 VSP 트레이닝을 활용해 더 촘촘하게 재배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최북단의 와인 산지, 아디제 강의 계곡 쪽을 바라보는 남동향 및 남서향의 계단식 지형에 형성, 온화, 여름이 짧고 건조, 생장기 중 강우량이 적습니다. 고도로 인해 일교차 폭이 넓어 향이 강한 화이트 와인과 우아한 풍미와 가벼운 바디의 레드 와인 생산. 피노그리지오. 드라이 스타일, 가벼운 바디 ~ 중간 바디, 산도 높고, 감귤류와 초록 과일 풍미 게뷔르츠트라미너, 샤르도네, 피노 블랑이 그 다음으로 중요한 화이트 포도 품종, 레드 와인; 탄닌이 낮은 정도부터 중간 정도이면서 라즈베리와 자두의 풍미를 지닌 가벼운 과일 풍미 와인을 생산, 알토 아디제 DOC,
트렌티노, 알토 아디제의 바로 남쪽, 좀 더 온화, 피노 그리지오, 중간 바디, 중간 산도, 잘 익은 핵과 풍미, 메를로와 토착 품종인 테롤데고 가장 많이 재배, - 색이 진하고, 탄닌은 중간 정도 높고, 산도 높고, 중간에서 무거운 바디, 검은 과일 향, 트렌티노 DOC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온화한 기후, 대륙성 기후, 피노 그리지오, 메를로, 피노 그리지오; 복숭아와 열대 과일 풍미, 중간 ~ 무거운 바디 와인 생산, 토착 품종 프리울라노; 중간 산도 ~ 높은 산도, 바디 중간, 배, 붉은 사과, 허브 향,
평야- 프리울리 그라베 DOC, 화이트 와인, 단순한 과일 풍미, 콜리오 DOC콜리 오리엔탈리 DOC 언덕에 위치, 농축된 풍미의 화이트 와인 생산, 오리엔탈리는 레드 와인,
베네토;소아베, 발폴리첼라
피노 그리지오, 샤르도네, 메를로, 코르비나, 가르가네가, 트레비아노와 같은 토착 품종, 베네토 IGT
프로세코 - 스파클링 와인 DOC
소아베; 베로나 동쪽 구릉 지대 토양은 일부 화산석이 섞인 석회암과 점토, 평야지대 모래 충적토에서 재배, 화이트 가르가네가, 와인의 산도는 중간에서 높은 정도, 중간 바디, 배 붉은 사과, 핵과, 가끔 백후추 향, 최상급 와인은 숙성 잠재력 있으며, 아몬드, 꿀, 아로마, 소아베 DOC, 구릉지대 소아베 클라시코 DOC
발폴리첼라, 구릉 지대, 석회암, 점토 화산토, 평평 남쪽은 모래, 자갈, 주요 포도 품종은 껍질이 얇고, 색은 중간, 낮은 ~ 중간 탄닌, 산도 높은 코르비나, 발폴리첼라 DOC, 구릉지대 발폴리첼라 클라시코 DOC,
파시토 기법, 구조감 강화, 풍미 농축, 산도가 높을 때 조기 수확 & 실내에서 건조되어 당분과 풍미 농축, 겨울에 발효 개시, 아마로네 델라 발폴리첼라 DOCG, 레치오토 델라 발폴리첼라, 레치오토 디 소아베 DOCG
리파소 기법;발폴리첼라 리파소 DOC
피에몬테, 이탈리아 북서부 모퉁이, 북쪽의 산이 비를 막아주는 그늘, 온화 ~ 대륙성 기후, 150~600미터 구릉지대, 네비올로, 바르베라, 돌체토 적포도 품종, 코르테제, 모스카토 청포도
아스티, 투린, 바롤로 DOCG 바르바레스코 DOCG
바롤로, 산도, 탄닌 높고, 색상 연한 적포도, 네비올로 품종, 포도가 서서히 완숙되어 신 체리, 허브, 때때로 말린 꽃의 진한 아로마를 발현,
돌체토와 바르베라 재배 - 알바 DOC로 명시
바르바레스코 ; 네비올로, 바롤로에 비해 200~400미터 사이 위치한 남향 경사지, 바롤로에 비해 더 일찍 완숙 되며 과일 풍미는 더 강하고 향은 약합니다. 바르바레스코 DOCG 반드시 출시 전 2년 숙성, 9개월은 오크 숙성
아스티와 알바
바르베라달바 DOC, 바르베라 다스티 DOCG
돌체토 품종, 네비올로와 바르베라에 비해서는 더 일찍 완숙되는 품종으로 서늘한 부지에서도 재배될 수 있습니다. 돌체토달바에서 다수의 최고급 와인을 생산하는 경향, 바르베라와 돌체토 모두 어릴 때 음용이 가능하지만 최상급 와인의 경우 수년 간 숙성이 가능합니다.
가비; 화이트 와인 산지인 가비는 코르테제 품종, 고도와 해양 미풍의 영향으로 천천히 오래 완숙되어 높은 천연 산도와 꽃 특징이 강조될 수 있는 언덕에서 포도나무가 재배됩니다, 가비 DOCG, 나 코르테제 디 가비 DOCG로 라벨에 명시,
중부 이탈리아, 산지오베제 - 키안티 와인, 토스카나, 움브리아, 라치오, 마르케, 아브루쪼 지역
기후와 포도 재배, 포밸리의 남부에 위치, 아펜니노 산맥이 주를 이룹니다. 고도로 인해 더운 기후가 완화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양쪽 해안 지역은 해양 미풍의 냉각 효과의 도움
토스카나
북부 산악지대, 키안티, 남부의 언덕과 계곡 지대, 평평한 해안 평야 지대, 이렇게 대략 세개의 지역, 산지오베제는 이 세 개 지역 모두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며 명성도 가장 높은 포도 품종으로 산도와 탄닌이 높은 와인을 생산합니다.
키안티, 피사, 플로렌스, 시에나 사이 아펜니노의 구릉 지대에 위치합니다. 키안티 DOCG등급 라벨,
남부 토스카나,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 DOCG, 비노 노빌레 디 몬테풀치아노 DOCG
움브리아, 대륙성 기후, 그레케토, 트레비아노 - 화이트 와인, 오르비에토 DOC로 유명,
라치오; 프라스카티 DOC, 말바지아, 트레비아노 품종을 혼합해 보통 신선하고, 오크 숙성하지 않은 스타일로 생산
마르케, 아펜니노 동부에 위치, 베르디키오 포도를 기반으로 한 화이트 와인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아부르쪼, 몬테풀치아노, 몬테풀치아노 다브루쪼
남부 이탈리아, 네그로아마로, 무거운 바디 레드 와인, 에트나 산 언덕의 높은 고도 지역에서 재배된 포도로 만든 절제되고, 우아한 레드 와인에 이르기까지 아주 다양한 품종을 이곳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캄파니아, 바실리카타, 풀리아, 시칠리아 섬
독일; 세계적 수준의 리슬링, 드라이한 강철 풍미, 중간 스위트의 꽃 풍미, 감미로운 스위트 스타일. 레드 와인 생산량 점차 증가, 슈페트부르군더로 불리는 피노누아 와인이 프리미엄급 품질로 명성을 쌓아가고 있습니다.
기후와 포도 재배
서늘한 대륙성 기후, 바덴- 따뜻, 길고 서늘한 숙성기에는 포도가 산도를 유지하며 당분이 숙성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집니다. 조건이 잘 갖춰지면 귀부병 , 보트리티스 영향 - 스위트 와인, 연간 날씨 조건은 해마다 크게 달라 매년 생산되는 와인의 품질, 양, 스타일의 상당한 차이로 귀결됩니다.
한계 조건 하에서는 포도밭 입지의 작은 차이가 와인 품질에 상당한 영향
햇볕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곳, 남향의 가파르고 종종 돌이 많은 경사면, 수작업 경작, 원치라는 특수 보조기 장비, 정수리 가지치기, 말뚝으로 고정, 줄기를 말뚝의 맨 위에 묶어주어 포도의 햇빛 노출과 공기 순환을 극대화합니다. 포도밭이 강 주변에 위치한 경우 반사되는 햇빛이 포도 숙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흐르는 물에 의한 공기 흐름이 서리 피해를 예방해 줄 수 있습니다.
와인이 머스트 중량에 따라 분류 되기 때문에 수확은 여러 주, 여러 달에 걸쳐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다양한 크발리테이츠바인, 프래디카츠바인 생산이 가능합니다
포도 품종과 와인 스타일
크발리테이츠바인 범주로 판매, ,프래디카츠바인 - 주로 화이트 와인
리슬링, 풍미 섬세한 꽃 풍미 ~ 풍부한 복수아 같은 과일 특성, 본 드라이 ~ 감미로운 스위트 스타일, 크발리테이츠바인 등급으로 라벨에 표시, 가벼운 과일 풍미에서 아주 농축된 강렬한 스타일까지 다채로우며 최상급 와인 중 다수는 그로세스 게벡스 로 라벨에 명시, 프래디카츠바인으로 라벨에 표시되는 거의 모든 와인은 잔류 당분을 보유, 아우슬레제 범주까지는 드라이 스타일 가능.
카비넷, 슈페틀레제, 아우슬레제, 베렌아우슬레제, 트로켄베렌아우슬레제
카비넷 가벼운 바디, 높은 산도, 잔당 잘 조화되는 청사과, 감귤류, 스위트 스타일 알코올 도수 8~9%, 드라이 12%,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 (쉬스레제르베)을 첨가, 발효 후 와인 당도 높이는 것이 가능, 고급 와인 생산에는 하지 않습니다.
슈페틀레제 - 레잇 하비스트, 카비넷 보다 농축, 완숙된 풍미, 바디와 알코올 조금 더 강하며, 어떤 경우에는 동일 지역의 카비넷 와인에 비해 당도가 더 높습니다. 감귤류, 핵과류 아로마, 리슬링 기반 슈페틀레제 와인의 공통적인 특징.
아우슬레제 - 개별적으로 선별한 매우 잘 익은 포도송이, 스위트 스타일 모두 아우슬레제는 동일 지역의 슈페틀레제 와인과 비교할 때 더 풍부하고 완숙된 풍미를 보이며, 스타일에 상관없이 귀부병은 아우슬레제 와인의 풍미 윤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
BA, TBA, 머스트 중량 충족을 위해 귀부병의 발생이 필수적, BA는 필수는 아님, 매년 생산되는 것은 아님, 생산량도 시점에 따라 큰 차이, 와인은 스위트하며, 알코올 도수는 낮으며, 꿀, 말린 핵과, 설탕에 조린 과일 껍질과 꽃의 풍미를 지닙니다.
아이스바인 - 산도와 당도 간의 아주 섬세한 균형
독일 와인 법률과 라벨
대다수 PDO와인, PGI와인 역시 생산되며 landwein으로 라벨에 표시, GI가 명시되지 않은 와인은 단순히 Deutscher Wein으로 표시합니다.
PDO와인은 13개 한계 지역으로 구분됩니다. 단일 품종 와인으로 라벨에 명시, 수확시 최소 머스트 중량으로 분류합니다.크발리테이츠바인 // 프래디카츠바인 (여섯개 프래디카트 카테고리)
모든 PDO와인은 반드시 한 지역에서만 생산된 것, 라벨에 지역명,
당도 - 드라이 와인은 라벨에 트로켄으로 명시할 수 있으며, 오프-드라이 또는 중간 드라이 와인은 할프트로켄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 파인 헤르브
포도밭 위치, 독일 와인 라벨에 보편적으로 표시됩니다. 마을 이름이 가장 먼저 명시 되고, 그 다음으로 포도 밭이름이 명시 됩니다.
VDP 독립적인 독일 생산자 집단의 결성 ; 독일우수와인생산자협회
그로세스 게벡스 GG
기타 청포도 품종
뮐러-트루가우; 리바너 1880년 개발, 리슬링 x 마들렌 로얄 교배종, 리슬링에 비해 더 일찍 익지만 산도, 풍미 강도 떨어짐
실바너;라인헤센, 프랑컨 에서 재배, 드라이, 스위트 모두 생산, 리슬링 보다 산도 낮고, 두드러진 과일 풍미, 흙의 풍미,
적포도 품종
슈페트부르군더; 피노누아, 온화한 포도 밭 특히, 팔츠 & 바덴, 드라이, 가벼운 과일 풍미, 종종 오크향
돈펠더; 폭넓게 재배, 진한 색상, 포투기이저, 트롤링거, 슈바츠리슬링 도 재배, 가벼운 바디의 과일 풍미, 일부 오크 특징, 강렬한 색상과 풍미 강도, 크발리테이츠바일 드윽ㅂ
와인산지
모젤; 모젤강과 라인강 합쳐지는 지역 ~ 독일 국경과 두 개의 작은 지류인 자르와 루버까지, 청포도 품종 특히 리슬링, GG와인 등급에서 유일하게 허용, 중부 모젤 생산량 집중, 피스포트, 베른카스텔, 벨런, 강 바로 옆 점판암 토양의 급경사지, 라인가우, 라인헤센, 팔츠 지역 와인과 비교할 때 바디가 더 가벼우며, 알코올 도수는 낮고 산도는 높습니다. 꽃, 초록 과일 풍미가 압도적입니다.
나헤; 모젤과 라인헤센 사이의 넓은 지역, 최상의 포도밭은 슐로스버켈하임, 바트 크로이츠나흐 사이 작은 구역 나헤 강둑, 남향 경사면, 리슬링 기반, 뚜렷한 산도 그러나 좀더 숙성된 과일 풍미
라인가우; 작지만 명성 있는 지역, 라인강과 마인강의 북쪽 강둑 경사지, 남쪽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입지는 북쪽에 위치한 타우누스 언덕의 보호 효과와 결합되어 포도가 숙성되기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합니다. 습한 조건 일부 독일의 최상급 BA, TBA 와인도 여기에서 생산, 호하임의 마을을 중심으로 발달, 슈페트 부르군더, GG 와인은 리슬링 또는 슈페트 부르군더 품종 기반
라인헤센; 가장 규모 큰 지역,적포도, 청포도 다양, 니어슈타인 마을 주벼을 중심으로 한 라인 강 서쪽 강둑의 가파른 경사지 포도밭에 기반
팔츠; 대부분 포도밭이 알자스 포도밭의 연장, 보주 산맥의 연장인 할트 산의 동쪽, 리슬링, 뮐러-투르가우, 그라우부르군더, 바이스부르군더 생산도 점차 증가, GG 와인은 리슬링, 바이스부르군더, 슈페트부르군더 기반, 상급 와인 포도밭은 폴스트, 다이데스하임주변 지역, - 미텔할트라 불립니다.
바덴; 기후가 온화한 최남단에 위치한 와인 산지, 알코올 도수가 가장 높은 가장 무거운 바디의 독일 와인, 슈페트브루군더, 뮐러-투르가우, 그라우부르군더, 바이스부르군더, 리슬링, GG와인은 다양한 청포도와 적포도 품종을 기반,
프랑컨;화이트 양조자가 압도적
론 지방(The northern Rhone & The southern Rhone), 남부 프랑스
북부론, 북쪽의 비엥론 강 옆의 가파른 언덕에 위치, 생산량은 5% 프리미엄 와인
기후와 포도 재배, 매우 좁고 가파릅니다. 강 인근에 조성, 최고의 밭은 남향의 가파른 경사지에 위치합니다. 론 강으로 향하는 세로로 누운 계곡에 종종 위치하며, 계곡은 포도나무를 수비게 손상시킬 수 있는 미스트랄이라 불리는 찬 북풍으로 부터 포도나무를 보호합니다. ; 보졸레 지역과 유사한 온화한 대륙성 기후, 온도는 남부 론 보다 두드러지게 서늘.
포도 품종과 와인 양조
쉬라를 기반으로 한 힘이 넘치는 레드 와인, 비오니에
적포도 품종; 시라
북부 론에서 유일하게 허용되는 적포도 품종, 미스트랄의 냉각 효과와 함께 시라는 성공적으로 숙성할 수 있는 지역의 북방 한계선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남향으로 노출된 매우 가파른 경사지에 위치, 색은 진하고, 검은 과일 풍미에 탄닌은 중간~ 높은 정도, 검은 후추, 꽃 아로마 동반, 오크 사용; 양조자에 결정, 최상급 와인은 새오크를 높은 비율로 사용, 오래된 오크나 큰 통의 사용을 선호하는 양ㅈ자도 있습니다. 화이트 품종과 함께 시라를 발효하는 방식이 많은 크뤼에서 전통적으로 시행, 이 방식은 보기 힘듭니다. - 청포도 추가함으로써 적포도 색상 추출 과정을 안정화 가능. 비오니에는 와인 아로마 강도 높일 수 있습니다.
청포도 품종
비오니에; 꽃, 살구 풍부한 향과 핵과의 풍미를 지닌 무거운 바디 화이트 와인을 생산하는 품종입니다. 아주 당분이 완숙되는 계절의 끝머리에 이르러서야 특징적인 향이 발현, 산도 높고, 알코올 도수 높은 경향. 마르산과 루산. 마르산은 풍부함과 무게감, 루산은 산도와 향기로 과일 특성. - 숙성이 잘 되고 복합적인 헤이즐넛 향을 발현합니다.
산지와 와인
코트 뒤 론, 또는 크뤼 등급, 생 조세프와 크로즈 에르미타주가 큰 면적 차지.
코트 로띠; 앙푸이 마을 주변의 포도밭은 론 밸리 최북단 등급 명칭입니다. 구워진 경사지, 구워진 언덕이란 의미의 코트 로티라는 지명은 이 지역이 햇볕에 얼마나 노출되는지 가늠할 수 있게 합니다. 비오니에를 20%까지 추가할 수 있습니다. 보통 10%정도, 색이 깊고, 바디가 무겁고, 향신료 풍미를 가지며, 최고의 와인은 향기롭고, 꽃의 신선함과 우아한 질감을 가져 에르미타쥬와 구분됩니다.
콩드리유; 비오니에 포도만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 최고의 와인은 가파르고 노출이 좋은 계단식 포도밭에서 재배되는, 수확략이 낮은 오래된 포도나무를 기반으로 생산됩니다. 샤토 그리예 - 단독 소유지 명칭
생 조셉; 시라로 만든 레드와인 + 마르싼, 루싼, 최고의 와인은 투르농 근처의 계단식 포도밭에서 생산되며 에르미타주와 유사한 강한 풍미와 구조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종종 탄산 침용 방식으로 생산된 성분을 포함하는 비교적 가벼운 바디의 대량 생산 와인은 토양이 더 비옥한 계곡 아래 평지나 언덕 위 고원에서 생산됩니다. 북부 론에서 가장 가벼운 바디를 가진 와인, 시라 포도의 특유의 후추향.
에르미타주; 가장 무거운 바디 +마르싼과 루싼 15%
크로즈 에르미타주; 시라 + 마르싼,루싼
코로나스; 가장 남쪽, 기후도 따뜻, 남향 경사지 100% 시라. 색이 깊고, 바디가 무거우며, 스타일과 품질은 에르미타주와 비슷.
남부 론;저가~프리미엄, 일부 고급 화이트, 로제 + 레드 대부분
기후와 포도 재배
평평한 지형, 상당수의 최고 부지는 햇볕을 흡수하고, 포도밭을 데워 숙성을 돕는 돌이 많은 토양을 보유. 특히, 샤토뇌프 뒤파트와 같은 일부 부지는 갈레라 부르는 이러한 돌들이 토양 표면을 완전히 덮고 있습니다. 지중해성 겨울이 온화~여름이 고온 건조해 가뭄의 위험이 있습니다.미스트랄 북풍에 가속도가 붙어 막대한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경사지가 적어 바람막이 설치가 필요합니다. 그르나슈는 덤불 트레이닝으로 바람에서 보호하고 토양의 온기를 받도록 합니다. 시라는 격자구조물 설치를 통해 지지해 줍니다.
포도 품종과 와인 양조
복합적 블렌드인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12개 또는 그 이상의 포도 품종으로 생산되기도 합니다.
적포도 품종
그르나슈; 대다수의 남부 론 레드 와인 생산에 압도적인 위치, 널리 재배, 온화한 여름 - 그르나슈 충분히 숙성되어 농축된 향신료와 붉은 과일 풍미의 와인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더운 여름 - 잼, 구운 과일 풍미, +쉬라 , 무베드르 보조역할, 시라;색과 탄닌, 더운 부지에서 고전할 수 있습니다. 무베드르; 이러한 장소에서 잘 자람, 색상이 진하고, 탄닌이 아주 높습니다. 샤토뇌프 뒤 파프 지역의 많은 최상급 생산자들이 높이 평가하는 사냥고기, 육류 아로마와 함께 꽉찬 검은 과일 풍미를 발현합니다. 생소; 레드 와인 블렌드에 보조적 역할, 탄닌이나 색이 아닌 붉은 과일의 풍미를 더합니다. 그르나슈 + 생소 ; 로제
양조 방식도 아주 다채롭습니다. 탄닌과 알코올 도수 관리, 발효 전 저온 침용과 스테인레스 스틸 저장, 전통적 개방형 발효통에서 시행하는 따뜻한 온도 추춘 발효~ 오래된 대형 오크통 숙성, 일부 양조자 새 오크,
청포도 품종
비오니에, 마르산, 루산, 클레레트, 그르나슈 블랑, 부르불랑, 최고의 화이트는 보통 질감이 풍부하고, 무거운 바디에, 알코올 도수는 높으며 산도는 낮은 정도에서 중간이고, 미묘한 과일 아로마를 드러냅니다. 새 오크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지역등급 - 마을 등급 - 크뤼
코트 뒤론, 남부 론 지역의 등급 명칭 와인 생산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 중간 바디의 과일 풍미가 있는 단순한 와인, 과일 풍미의 로제와 화이트 와인도 이 등급 명칭으로 생산됩니다. 레드 와인과 일부 화이트, 로제 와인 - 코트 뒤 론 빌라주, 엄격한 최소 알코올 도수와 최대 수확량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블렌드 중 더 높은 비율이 그르나슈, 시라, 무베드르로 생산 되어야합니다. 코트 뒤 론 빌라주 케랑의 경우 와인의 100%가 해당 마을에서 생산된 경우 라벨에 마을 이름을 표기할 수 있는 개별 마을도 다수 있습니다. 크뤼 등급에 해당하지 않는 최고급 와인이며, 일반명 코트 뒤 론 와인보다 바디, 구조감이 더 풍부하며, 향신료가 가미된 붉은 과일 풍미를 갖습니다. 이러한 지명된 마을 모두 크위 등급을 신청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습니다.
샤토뇌프 뒤 파프
론의 동쪽 강둑에 위치한 샤토뇌프 뒤파프는 론밸리에서 가장 규모가 큰 크뤼입니다. AOC지위를 획득한 최초의 산지로 프랑스 와인 역사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현저히 평평, 방향이 조금식 달라 시라, 무베드르의 품질에 지대한 영향, 많은 포도 품종 13개, 그르나슈 재배 압도적, 일부는 매우 성공적인 샤토뇌프는 100% 그르나슈를 사용하며 일부는 사냥 고기의 육류 풍미를 가진 무베드르를 많이 사용합니다. 최상급 와인은 모두 무거운 바디와 풍부한 질감을 보유하며, 특징적인 높은 알코올 도수와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농축된 향신료와 붉은 과일 풍미를 가집니다.
타벨과 리락, 론의 서쪽 강둑, 남부 크뤼, 로제 와인 생산 유명, 그르나슈와 생소 기반, 프로방스와 비교할 때 바디가 무겁고, 풍미가 강력하며, 병에서 숙성되면 더욱 탁월한 복합미. 타벨 - 로제, 리락 - 화이트, 로제, 레드, 샤토뇌프 뒤 파프 스타일의 최상급 와인
크뤼로 지공다스, 바케라스, 일부 크뤼는 로제와 화이트 생산도 허용, 봄드 브니즈, 뮈스카 드 봄 드 브니즈 라 불리는 주정강화 뮈스카에서도 별도 AC
남부 프랑스, 론 강 서쪽의 랑그독, 루시용, 동쪽의 프로방스,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기후와 포도 재배
여름 기온이 종종 30도씨 초과, 겨울이 온화하며, 특히, 성장기 강수량이 낮은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를 보입니다. 포도 재배에 이상적인 조건 제공.
획일적인 지역이 아닙니다. 구릉 내륙에 조성된 포도밭은 해안 평야의 포도밭에 비해 두드러지게 서늘하고, 종종 비옥도가 떨어지며, 양질의 포도 재배에 적합한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을 갖고 있습니다. 강풍 역시 기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서늘하고, 건조한 바람이 북쪽에서 불어와 지역의 동부와 서부 끝 지역을 냉각합니다. 미스트랄이 론 밸리 아래로 불며 트라몽탄(북풍)이 마시프 상트랄과 프레네 사이의 틈으로 붑니다. 가뭄이 문제, 진균성 질병은 위험이 적습니다.
포도 품종, 와인 양조
적포도 품종, 그르나슈, 시라, 카리냥 - 탄닌이 높고, 산도가 높아 색이 진하지만 과일 풍미나 섬세함은 부족합니다. 그러나 척박한 토양에 식재된 오래된 카리냥 포도나무에서 우수한 와인이 생산되기도 합니다. 엄청난 수확량 덕분에 과거 인기를 끌었습니다. 붉은 과일 풍미 - 생소, 무베드르 - 가장 따뜻한 지역에서만 성공적으로 숙성, 블렌드에 풍부함, 색상, 복합미를 더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메를로와 같은 국제 품종도 상당량 재배되는데, 카쇼의 경우 IGP와인 생산에 사용됩니다.
현대적 장비 투자, 셀러 위생 개선, 온도 통제, 산소 관리 및 새 오크와 오래된 오크의 신중한 사용을 통해 혜택을 보았습니다. 카리냥의 탄닌을 부드럽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부 생산자는 부분 탄산 침용을 활용합니다.
청포도 품종
샤르도네, 쇼블, IGP와인 생산에 사용, 비오니에, 토착 품종 - 뮈스카, 그르나슈 블랑, 피네의 픽풀, 리무의 모작, 루시용의 마카베우, 프로방스의 롤, 랑그도크와 프로방스의 클레레트와 같이 각각 현지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다수의 지역 토착 품종이 지역 전체에 걸쳐 재배되고 있습니다.
랑그독과 루시용
랑그독 - 오드, 에로, 가르드의 데파르망
루시용 - 데파르트망 피네레 오리엔탈, 베지에, 몽펠리에 사이에 해얀 평야
알자스 Alsace & 루아르 밸리 The Loire Valley
알자스; 독일과 프랑스 사이의 국경에 위치한 알자스는 생산 와인 대부분이 단일 품종을 기반으로 라벨에 표시된다는 점에서 프랑스 와인 산지 중 이례적인 지역입니다. 스틸 와인 생산은 드라이, 오프-드라이, 스위트 스타일의 향이 풍부한 화이트 포도 품종에 집중합니다. 일부 레드 와인도 생산 됩니다.
기후 및 포도 재배
서늘한 기후, 온화한 대륙성 기후, 보주산은 강한 서풍과 비바람으로부터 포도밭을 보호, 구름이 끼지 않아 여름에는 햇볕이 강하고, 가을에는 건조합니다. 포도의 높은 당분 숙성 가능, 건조한 해에는 가뭄이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최고의 포도밭 - 동향, 남동향 가장 가파른 언덕, 더 북쪽의 포도밭은 가장 서늘, 보주의 보호 효과 가장 적게 받습니다. 하급 포도밭은 보주의 산기슭과 라인 사이 평야에 위치합니다. 이곳의 포도는 종종 지역 AC 스파클링 와인인 크레몽 달자스 생산에 사용됩니다. 토양이 다채롭습니다. 언덕의 포도나무는 낮게 트레이닝해 방출되는 열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햇볕에 노출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열을 지어 심습니다. - 수확은 수작업, 평야의 포도나무는 봄 서리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높게 트레이닝합니다. 유기농과 바이오다믹 포도 재배가 널리 시행되고 있습니다. 알자스 지역의 햇볕이 강하고, 건조한 기후 조건으로 인하여 질병 위험이 적은 것이 그 이유 중 하나입니다.
여러 포도 품종, 다수의 작은 포도밭에 식재, 수확기에 중요한 물류 문제에 부딪치게 됨.
알자스 등급 명칭과 분류
알자스, 알자스 그랑 크뤼
VT, 방당지 타르디브와 SGN 셀렉시옹 드 그랭 노블; 기타 두 가지 분류
레제르브 페르소넬, 큐베 스페시알; 법적인 효력은 없음
알자스; 대다수, 단일 포도 품종, 100%
알자스 그랑 크뤼, 50개 이상의 포밭, 단일 밭 단일 귀족 품종, 리슬링, 뮈스카, 게뷔르츠트라미너, 피노 그리, 일부 예외, 포도밭 이름, 빈티지, 포도 품종 기재
방당지 타르티브 VT, 늦은 수확, 4종류의 귀족 품종 중 하나를 사용해서만 생산될 수 있으며, 포도 품종에 따라 최소 당분 함량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파스리아지, 귀부병
셀렉시옹 드 그랭 노블; 네 종류 귀족 품종, VT최소 함량 규정보다 높게 설정, 소량만 생산
와인 양조 및 스타일
리슬링, 게뷔르츠트라미너, 피노 그리, 뮈스카 - 그랑크뤼, VT, SGN
이 품종들 모두 향이 풍부, 아로마와 풍미 유지하는데 초점.
전통적인 생산자 100년 이상 된 오래된 대형 오크통 와인 발효, 현대 제조소; 스테인레스 스틸,
유산발효 권장하지 않지만, 일부 생산자 시행하는 경우도 있음.
와인이 어리고 신선한 시기인 수확 이듬해에 봄에 병입. - 병 숙성 가능
VT 와인은 드라이 ~ 스위트
SGN 항상 스위트
리슬링; 무거운 바디 드라이 와인, 알코올 중간, 산도 높고, 돌/ 강철의 특징, 감귤류, 핵과의 향, 잔당 어느 정도 함유하도록 생산됩니다. 전형적으로 독일 와인만큼 풍부한 꽃 특징을 드러내지는 않습니다.
게뷔르츠트라미너 - 리치, 장미, 달콤한 베이킹용 향신료, 옅은 핑크빛 껍질, 황금색 와인, 오일 질감, 낮은 ~중간 산도, 알코올 도수는 높은 편이고, 무거운 바디,
피노 그리; 최고의 피노 그리는 진하고, 바디가 무거우며 알코올 도수가 높지만 종종 게부르츠트라미너 보다는 산도가 높은편 입니다. 게부르츠트라미너와 유사한 생산을 띠지만 아로마는 다소 떨어집니다. 미각에서 느껴지는 풍미는 질감이 풍부하고, 신선한 과일, 말린 과일, 꿀 특성의 풍미 강도가 강렬한 와인입니다.
뮈스카;블랑 아 프티 그랭 기반 ; 오렌지, 꽃, 장미, 포도의 풍미와 강렬한 아로마, 가벼운 바디부터 중간 바디에 낮은 정도에서 중간 정도의 산도를 가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롯에 취약, 향이 좀 더 약한 뮈스카 오토넬을 광범위 하게 재배
기타 포도 품종; 피노 블랑- 평지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라는 경향, 스파클링 와인 생산에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스틸 와인으로 생산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가볍고, 단순하며, 신선하면서 향이 강하지 않은 스타일로 생산됩니다.
피노누아 - 알자스에서 유일하게 허용되는 적포도 품종
루아르 밸리; 루아르는 프랑스에서 가장 긴 강, 다채로운 와인 산지, 화이트, 레드, 로제 스틸 와인 생산
네 개의 소 구역; 상트르 포도밭(Central vineyards), 투렌, 앙주 소뮈르, 낭테.
(로제 드 루아르, 로제 드 크레망; 앙주와 소뮈르에 집중되어 있음.), 지역 전체 포함하는 IGP 발 데 루아르 는 존재합니다.
기후와 포도 재배; 다양한 기후
전반적으로 서늘, 내륙에 위치한 센트럴 빈야드 (상트르) 대륙성 기후, 낭테 지역은 해양성 기후. 앙주- 햐양에 인접한 입지 고려해 볼 때 예상 되는 수준보다 약간 더 온화하고 건조. 모쥬 언덕의 보호를 받음. 일부 지역은 따뜻하고, 돌이 많은 토양의 혜택을 봅니다. 내륙 지역의 투렌은 보다 서늘하고, 습도가 높은 기후와 점토.
- 북방 한계선에 위치, 빈티지 마다 크게 달라짐, 높은 강우량과 진균성 질병이 특히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상적인 입지는 언덕 중간에 위치하고, 추가적인 열과 반사광을 받을 수 있도록 강을 마주보고 있습니다.
루아르는 많은 포도 품종이 허용되지만 토착 품종만을 살펴볼 것입니다.
소비뇽 블랑; 상트르 포도밭( 네 구역 중 생산량 가장 적지만, 소비뇽 블랑 와인에 있어서 가장 저명, 상세르, 푸이 퓌메) - 백악질 함량이 아주 높고, 배수가 잘 되는 돌이 많은 토양, 드라이하고 산도가 높으며 청사과와 젖은 돌의 풍미, 푸이 퓌메는 미묘한 훈제 풍미, 샤비뇰과 같은 개별 마을과 레 몽 담네 와 같은 포도밭 (둘 다 상세르에 위치)는 특히 표현력이 풍부한 와인 생산, 일부는 병 숙성도 가능, 투렌
- 양조 기법은 생산자 마다 다름, 신선한 과일 풍미 - 약한 공기 주압식 압착, 온도가 통제되는 스텐인레스 스틸통 활용, 어떤 생산자는 오래된 오크통 발효 및 숙성, 폭 넓은 질감을 위해 앙금과 접촉. 소수는 새 오크.
좀 더 저렴한 가격의 와인 원산지 - 므느투-살롱.
대다수는 투렌지역에서 소비뇽 블랑 생산. AOC Touraine, 종종 농축미 떨어지며, 단순한 과일 풍미.
슈냉블랑, - 투렌과 앙주 소뮈르, 최고의 화이트, 산도가 높고 향이 풍부하지 않음. 같은 송이에서 완숙도가 다름. 드라이, 스위트 모두 가능, 스틸, 스파클링 와인 모두 가능합니다. 알코올 10~11% - 스파클링 와인, 드라이, 스위트 - 아주 잘 익은 포도, 사과 ~ 열대 과일 풍미, 강철, 훈제 특징, 스위트 와인 - 살구, 감귤류, 수십 년 동안 숙성 가능.
부브레는 스틸, 스파클링 슈냉 와인 모두 생산
소뮈르, 앙주 - 소뮈르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생산된 스파클링 슈냉블랑, 앙주 새 오크에서 숙성되는 드라이 와인, 사브니에르와 코토 뒤 레이용은 앙주 소뮈르 서쪾에 위치, 투렌에 비해 온화~건조, 중간 ~ 무거운 바디에 꽃 풍미 약한 스타일의 와인 생산. 사브니에르 - 드라이 스타일 무거운 바디의 슈냉 블랑, 최고 와인은 수십년 간 병속에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 코토 뒤 레이용은 스위트 와인 생산. - 카르 드 숌, 본느조 자체 등급 명칭.
믈롱 블랑; 뮈스카데 또는 믈롱 드 부르고뉴, 조기 완숙 품종, 서리에 강함, 서늘한 기후에 적합 - 낭테 지역 재배. 뮈스카데 등급 명칭, 뮈스카데 세브르 에 멘, 모든 와인은 드라이, 알코올 도수 중간, 전통 - 대형 오크통 발효, 지금은 콘크리트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통 보편적으로 사용. 와인 산도 높고, 가벼운 바디 미묘한 초록 과일 풍미. 뮈스카데 쉬르 리; 지역의 특산품
적포도 품종과 와인 스타일
카베르네 프랑; 조기 개화, 조기 숙성, 양조 기법, 부지의 기후와 토양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생산됩니다. - 투렌, 남부의 쉬농, 북부의 부르궤이유, 일찍 마시기 좋은 가벼운 과일 풍미의 와인이 모래 토양에서 생산되는 경향, 무거운 바디에 보다 탄닌이 강한 스타일은 선회암과 점토 기반의 남향 언덕 지역에서 생산. 소뮈르와 소뮈르 샹피니 - 투렌 등급 지역 보단 바디와 탄닌이 가벼움, 즙이 많은 베리류 과일과 종종 꽃 풍미. 차게 서빙.
기타 적포도 품종; 가메, 투렌과 앙주, 소량의 피노 누아 - 상트르 포도밭
로제 - 앙주 소뮈르, 투렌과 상세르 ; 로제 드 루아르, 항상 드라이 스타일, 혼합 시 반드시 최소 30%의 카프 및 카쇼 포도 포함.
카베르네 당주 - 최상위 항상 중간 스위트, 카프와 카쇼를 혼합. 로제 당주 - 스위트한 정도는 낮음. 카프와 기타 토착 품종, 그롤로 (고수확 적포도 토착 품종)을 주종으로 생산.
상세르 로제 - 반드시 피노누아로 만들어야하며 보통 색이 연하고 바디는 가볍고, 드라이, 섬세한 과일 풍미.
로제- 직접 압착 방식, 껍질과 짧은 침용.
프랑스 서론 및 보르도, France // Bordeaux
프랑스 와인 법률
PDO와인, 이것에 해당하는 불어 용어는 AOP 아펠라시옹 도리진 프로테제 이지만, 전통적인 용어인 아펠라시옹 도라진 콘트롤레 AC, AOC가 와인 라벨에 더 널리 사용됩니다. 토지의 한 구획이 일반 등급 명칭과 특급 등급 명칭 모두에 속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매 해마다 생산자는 어떤 등급 명칭을 사용할지 결정할 수 있는데, 이 결정은 해당 빈티지 품질에 종종 영향을 받습니다. PDO와인을 등급명칭 와인으로 명명합니다.
PGI와인, IGP 인디카시옹 제오그라피크 프로테제입니다. 전통적인 뱅 드 페이 Vin de Pays가 자주 사용되기는 하지만, 많은 생산자가 와인 라벨에 이 용어를 사용합니다.
Vin de France, 지리적 명시를 사용하지 않는 와인을 뱅 드 프랑스 Vin de france 라고 합니다.
Bordeaux*극소수 부유한 생산자가 활용 가능한 자원과 대다수 재배자 및 생산자가 활용 가능한 자원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보르도 기후 및 포도 재배
온화한 해양성 기후 지역, 해양 난류의 영향으로 생장기가 더 길어집니다. 봄서리 문제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포도 숙성은 10월까지 지속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대서양의 영향으로 강우량이 많고 습도가 높습니다. 1년 내내 비가 내려 개화와 결과를 방해하고, 부패를 야기하며, 수확기에 포도 풍미를 희석 시키기도합니다. 보르도 지역에서는 빈티지 차이가 중요한 고려 요소입니다. 캐노피 관리 기법이 발전하면서 더욱 건강한 포도 생산이 가능해 졌고(약품 살포 또한 감소), 수확 시 당도와 풍미 발현이 괄목할 만큼 증대 되었습니다.
포도 품종과 와인 양조
혼합, 날씨의 차이 특히 강우량의 차이가 심해 단일 품종에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아주 위험합니다.
적포도 품종; 카베르네 쇼비뇽은 오-메돈 지역의 지배적인 품종이며 메독과 그라브에서도 매우 중요한 품종입니다. 돌/자갈 함량이 높은 토양은 포도밭 온도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들 지역은 카쇼가 제대로 익을 수 있는 유일한 지역입니다. , 카베르네 프랑은 생테밀리옹에서 널리 재배되며 메독과 그라브에서도 이보다 소규모로 재배됩니다. 카쇼로 만든 와인에 비해 바디, 탄닌이 낮은 와인을 생산합니다. 완숙되지 않은 경우 풋내와 줄기 풍미가 발현되지만 완숙된 경우 역동적인 과인과 꽃 풍미를 혼합 와인에 부여할 수 있습니다, 카쇼와 마찬가지로 배수가 좋은 따뜻한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메를로는 보르도에서 가장 널리 재배되는 품종으로 생테밀리옹과 포므롤 지역의 프리미엄와인 생산에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지역의 서늘한 진흙 토양에서 카쇼는 완숙되기 어려운 반면 메를로는 잘 자라기 때문입니다. 메를로의 부드러운 풍미는 대량 저가 와인에 주로 사용되는 포도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프티 베르도, 앞서 설명한 세 품종에 비해 재배량은 극히 소량입니다. 무더운 해에만 완숙이됩니다. 매우 색이 깊고 탄닌이 강한 와인을 만듭니다.
청포도 품종; 세미용은 껍질이 얇고 귀부병에 잘 감염되는 특징 때문에 보르도에서 스위트 와인에 가장 중요한 청포도 품종입니다. 페삭 레오냥과 그라브 지역의 프리미엄 드라이 화이트 와인 생산을 위해 소비뇽 블랑과 함께 혼합되어 와인에 바디감을 부여합니다., 쇼비뇽 블랑은 감귤류와 초록 과일 아로마를 지닌 와인을 생산합니다. 단일 품종 기반의 드라이 화이트 와인에 점차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며, 모든 보르도 와인은 혼합 와인이라는 일반화에 대한 유일한 예외이기도 합니다. 혼합 와인에서 쇼블은 높은 산도를 부여하는데, 이는 스위트 와인의 경우 특히 필수적입니다. 뮈스카델은 뚜렷한 포도와 꽃 풍미를 가지며 스위트와 드라이 화이트와인 생산에 중요한 조연 역할을 합니다. 블렌드 와인에서 적은 비율만을 차지합니다.
보르도 등급 분류
생테밀리옹을 제외한 보르도의 등급 분류는 명칭 체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개별 포도밭이 아닌 일반적으로 샤토라 알려진 개별 사유지에 부여되는 것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별 포도밭 부지의 매입이나 판매를 통해 사유지의 규모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샤토 이름이 특정 포도밭의 명칭이라기 보다는 브랜드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메독, 소테른
메독: 샤토 라피트 로칠드, 라투르, 마고, 무통 로칠드, 그라브의 샤토 오브리옹
소테른; 3 등급, 샤토 뒤켐이 최상
+ 크뤼 브루주아
그라브 - 크뤼 클라세, 페삭-레오냥
생테밀리옹 그랑 크뤼 - 10년마다 재 분류를 통해 승급 또는 강등될 수 있습니다.
와인 산지와 생산 와인
도르도뉴강과 가론강이 합쳐져 지롱드 삼각강을 형성, 이 강들에 의해 보르도 포도밭은 세 지역으로 나뉩니다.
지롱드/가론강의 서부와 남부에는 메독, 그라브와 소테른, - 좌안
도르도뉴와 가론강 사이의 지역 대부분은 앙트르 두 메르 (두 개의 바다 사이)
지롱드와 도르도뉴 북부와 동부 - 생테밀리옹과 포므롤
메독과 그라브의 레드 와인
토양; 점토가 주종, 노출부는 자갈, 생산 와인은 남쪽에 비해 블렌드 중 메를로 비중이 높고 일찍 마시는 스타일인 경향, 생-테스테프 사이를 두고 남쪽으로 오- 메독 이라는 상위 등급 지역이 위치, 이 내에는 많은 소규모 등급 명칭이 존재하는데 이를 종종 코뮌이라 부르며 높은 등급으로 분류된 샤토의 대부분이 이곳에 위치합니다. 생 테스테프, 포이약, 생 줄리앙, 마고, 카쇼 비중이 높고, 일반적으로 블랙 커런트의 핵심적인 특징을 발현하며 오크에 기인한 삼나무 풍미가 더해집니다.
그 바로 남쪽에 그라브 지역에서 가장 높은 등급으로 분류된 페삭-레오냥 이 있습니다. 토양 자갈 토양, 카쇼 재배에 적합, 일반적으로 와인은 오-메독 최고급 와인에 비해 더 향기롭고 바디가 가볍습니다.
생테밀리옹과 포므롤 - 우안, 메를로가 주종을 이룹니다.
생테밀리옹은 세개의 구별된 포도 밭 그룹이 존재합니다. 1. 생테밀리옹 도시의 북서쪽 고원 지대의 포도밭, 배수가 좋은 자갈과 석회암 토양 지역으로 카프 재배에 적합한 조건이며, 카쇼도 일부 재배됩니다. 2. 남동부의 급경사면에 위치한 점토 석회암 토양 지역의 포도밭, 가장 명성있는 와인은 이 두 지역에서 생산. 이 지역의 와인은 중간에서 높은 정도의 탄닌을 가지며, 좌안의 더 구조감 있는 와인과 비교할 때 레드베리 및 자두 풍미와 함께 부드럽고 풍부한 입 속 질감을 가지며, 숙성하면서 담배와 삼나무 풍미로 발전합니다. 3. 급경사면 아래쪽 모래토양 포도밭, 전형적으로 더 가벼운 바디에 지명도 다소 낮은 와인을 생산.
포므롤, 이 지역 와인은 더 풍부하고, 향신료 풍미가 강하며 블랙베리 특성을 지닙니다. 뱅드 가라지, 가라지스트, 가라지 와인!.!
코트 드 보르도, 블라이, 카디약, 카스티용, 프랑의 등급 명칭 모두 코트 드 보르도 앞에 각 지역명을 명시할 수 있습니다. 메를로 기반으로 생산되며 일찍 마시기에 적당한 경향, 최상급 와인은 가격 대비 탁월한 가치를 자랑.
프리미엄 드라이 화이트 와인,
소수의 등급 명칭만 드라이 화이트 와인 생산이 허용됩니다. 앙트르 두 메르 는 화이트 와인만 생산이 가능합니다. 그라브와 페삭 레오냥 등급 명칭은 레드 뿐만 아니라 화이트 와인 생산도 허용됩니다. 그라브와 앙트르 두 메르의 화이트 와인은 소비뇽 블랑을 기반으로 오크 숙성하지 않은 스타일로 생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페삭 레오냥은 많은 최상급 드라이 화이트 와인의 본산이며, 이지역의 화이트 와인 크뤼 클라세 등급 자격이 부여 될 수 있습니다. 보통 소비뇽 블랑과 세미용을 혼합해 생산하며, 부분적으로라도 새 오크를 사용해 발효 및 또 는 숙성함으로써 와인에 무거운 바디와 토스트 같은 오크 풍미를 부여합니다.
스위트 와인, 가론과 지류인 시롱의 강변에 몰려있습니다. 안개. 귀부병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은 해에는 당분 농축 - 빠스리아지. 소테른, 바르삭.
도르도뉴와 프랑스 남서부
도르도뉴 - 앙트르 두 메르 포도밭의 동쪽에 위치,
온화한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보다 적게 받음. 베르주락 - 보르도와 같은 품종 사용해 레드 화이트 둘 다 쓸 수 있음, 몽바지악 - 세미용과 소비뇽 블랑을 기반으로 보트리티스 감염된 포도를 사용해 양질의 스위트 와인을 생산.
남서부 프랑스
카오르 - 보르도의 동부, 블랙 와인, 탄닌 강하고, 수명이 긴 와인, 롯 강의 양쪽에 위치, 비옥한 하류, 상류의 언덕? 고원 지역의 척박한 토양? 다양한 스타일, 말벡 재배. 기태 메를로와 타냐. 최상의 경우 오크 숙성, 강렬한 다크베리 과일 풍미, 색이 진하고, 탄닌이 높은 와인, 삼나무, 흙의 풍미.
보르도 남동쪽에서 IGP 와인 상당량 생산, 코트 드 가스코뉴, 우니 블랑 - 청사과 아로마와 풍미를 지닌 드라이 가벼운 바디의 화이트 와인.
남쪽, 마디랑 - 색 진하고, 탄닌이 높은 타나를 주종으로 혼합해 레드 와인 생산. 탄닌 부드럽게 하기 위해 병숙석 필요했음.
쥐랑송 - 드라이한 스타일, 스위트한 화이트 와인 모두 생산. 산도가 높은 쁘띠 망셍으로 만든 복합적인 스위트 와인을 가장 중요한 와인으로 꼽을 수 있음. - 프티 망셍 - 빠쓰리아지. 자몽, 살구.